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FIDO2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분류:보안]][[분류:표준]][[분류:기술사 기출]] ;모바일 스마트기기 중심의 FIDO1.0에서 확장된 FIDO Alliance의 차세대 생체인증 표준 == 개요 == * FIDO2.0이 아닌 FIDO2 ** FIDO1.0을 확장하는 표준으로 계획했으나 FIDO1.0과는 완전 다른체계로 FIDO2.0이 아닌 FIDO2로 명명 [[파일:FIDO2.png]] == FIDO1.0의 제약 해결 == * 인증을 수행하려는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생체인증이 가능 * 단말기 제조사별로 FIDO 인증 클라이언트를 제공해야 함 * → FIDO2는 단말기의 제약에서 벗어나 어떤 플랫폼에서 어떤 종류의 인증 모듈도 연동 가능 == FIDO1.0과의 차이 == {| class="wikitable" ! 분류 ! FIDO1.0 ! FIDO2 |- | RP 클라이언트 | 모바일 앱 | + 웹 브라우저 |- | FIDO 클라이언트 | 단말 제조사 제공 | 플랫폼 제공 |- | 서버-클라이언트 통신 프로토콜 | UAF | 자체 정의 프로토콜 |- | FIDO 클라이언트 호출 방식 | (안드로이드) Intent (아이폰) Custom URL Scheme | Javascript |- | ASM | 제조사 제공 | 플랫폼 제공 |- | 인증자 | 단말 제조사 제공 | 빌트인 또는 외부 인증자 |- | 외부 인증자 연동 방식 | - | CTAP (USB, NFC, BLE 등) |} == 기술사 기출 == * [http://q.fran.kr/문제/5381 정보관리기술사 113회 1교시] * [http://q.fran.kr/문제/9597 정보관리기술사 116회 4교시]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