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테스트 원리: 두 판 사이의 차이

IT위키
(새 문서: 분류:소프트웨어 공학 ;Software Test 7 Principle ;소프트웨어 테스트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7원칙 {| class="wikitable" ! 구분 ! 원리 ! 내용 !...)
 
편집 요약 없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 결함 집중
| 결함 집중
|  
|  
* 결함의 80%는 20%코드에 집중
* 결함의 80%는 전체모듈의 20%내에 발견
* 결함이 높은 곳에 자원집중
* 결함이 높은 곳에 자원집중
|  
|  
59번째 줄: 59번째 줄:
|}
|}


== 기타 ==
== 참고 문헌 ==
* 출처 필요
* 개발자도 알아야할 소프트웨어 테스팅 실무, STA

2021년 3월 15일 (월) 14:10 기준 최신판

Software Test 7 Principle
소프트웨어 테스트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7원칙
구분 원리 내용 원인
목적 결함 발견
  • 결함제거가 아닌 결함의 발견을 목적으로 함
  • Test 본연의 역할
법칙 초기 집중

(요르돈 법칙)

  • 개발 설계 시 부터 테스트를 고려
  • 결함의 조기발견 및 재유입 방지
  • 품질비용 감소
결함 집중
  • 결함의 80%는 전체모듈의 20%내에 발견
  • 결함이 높은 곳에 자원집중
  • 파레토 법칙
오류-부재 궤변
  • 결함을 모두 제거하였다고 품질이 우수하다고 볼 순 없음
  • SW 요구사항 불만족
한계 불완전성
  • 완벽한 테스팅은 불가능
  • 무한경로, 무한입력값, 무한타이밍
  • 자원의 한계
살충제 페러독스
  • 동일한 테스트 전략, 기법을 적용할 시 내성이 생김
  • 테스터의 수동적 자세
정황 의존성
  • 테스트는 테스트 주변환경에 의한 영향을 받음
  • 외부요소, 심리요소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개발자도 알아야할 소프트웨어 테스팅 실무, S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