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From IT Wiki
No edit summary |
|||
(5 intermediate revisions by 4 users not shown) | |||
Line 1: | Line 1: | ||
[[분류:보안]][[분류:보안 공격]][[분류:정보보안기사]] | |||
; 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분산된 다수의 좀비 PC를 이용하여 공격 대상 시스템의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공격 형태. | ; 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분산된 다수의 좀비 PC를 이용하여 공격 대상 시스템의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공격 형태. | ||
Line 38: | Line 39: | ||
* HTTP, DNS, FTP, SMTP 등의 프로토콜을 대상으로 한다. | * HTTP, DNS, FTP, SMTP 등의 프로토콜을 대상으로 한다. | ||
* 공격 대상 시스템만 마비시키며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영향은 작다. | * 공격 대상 시스템만 마비시키며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영향은 작다. | ||
==== HTTP Continuation ==== | ==== HTTP Continuation Data Flooding ==== | ||
서버로 전달하는 패킷에 HTTP Header 없이 Data 만 채워 웹서버가 지속적으로 데이터 수신을 위해 TCP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는 공격이다. 패킷 크기를 최대한 크게 하여 보내기 때문에 네트워크 자원도 같이 고갈될 수 있는 공격 형태이다. | |||
==== HTTP GET Flooding ==== | ==== HTTP GET Flooding ==== | ||
* 동일한 HTTP GET 요청을 다량으로 발생시켜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도록 하는 공격 | * 동일한 HTTP GET 요청을 다량으로 발생시켜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도록 하는 공격 |
Latest revision as of 03:07, 16 November 2022
- 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분산된 다수의 좀비 PC를 이용하여 공격 대상 시스템의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공격 형태.
DoS와의 차이[edit | edit source]
DoS 공격이 시스템의 취약점을 이용해 부하를 유발시키는 것이라면 DDoS 공격은 다수의 선량한 PC를 동원하여 서비스에 접근하기 때문에 뚜렷한 해결책이 있는 것이 아니다.
구성[edit | edit source]
- 공격자(Attacker)
- 해커의 시스템
- 좀비 PC를 만들고, C&C에 명령을 전달한다.
- 명령 제어(C&C:Command and Control)
- 공격자로부터 공격 명령을 전달 받는 시스템
- 전달 받은 내용을 좀비 PC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마스터(Master)라고 부르기도 한다.
- 좀비(Zombie) PC
- C&C의 명령을 받고 실제 공격을 수행하는 다수의 선량한 PC
-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공격에 동원된다.
- 봇(Bot), 슬레이브(Slave), 에이전트(Agent)라고 부르기도 한다.
- 공격 대상(Target)
- 좀비 PC의 공격을 받는 대상 시스템
종류[edit | edit source]
대역폭 소진 공격[edit | edit source]
- OSI 3~4계층에서 이루어진다.
- IP, ICMP, IGMP, UDP, TCP 등의 프로토콜을 대상으로 한다.
- 전체 네트워크의 가용성에 영향을 끼친다.
UDP Flooding[edit | edit source]
ICMP Flooding[edit | edit source]
DNS Query Flooding[edit | edit source]
TCP SYN Flooding[edit | edit source]
TCP Flag Flooding[edit | edit source]
TCP Session Flooding[edit | edit source]
서비스 마비 공격[edit | edit source]
- OSI 7계층에서 이루어진다.
- HTTP, DNS, FTP, SMTP 등의 프로토콜을 대상으로 한다.
- 공격 대상 시스템만 마비시키며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영향은 작다.
HTTP Continuation Data Flooding[edit | edit source]
서버로 전달하는 패킷에 HTTP Header 없이 Data 만 채워 웹서버가 지속적으로 데이터 수신을 위해 TCP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는 공격이다. 패킷 크기를 최대한 크게 하여 보내기 때문에 네트워크 자원도 같이 고갈될 수 있는 공격 형태이다.
HTTP GET Flooding[edit | edit source]
- 동일한 HTTP GET 요청을 다량으로 발생시켜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도록 하는 공격
- 서버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도록 하여 정상적인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도록 함
CC Attack[edit | edit source]
- HTTP GET Flooding with Cache Control
RUDY[edit | edit source]
- RU-Dead-Yet
- Slow HTTP POST DoS
Slowloris[edit | edit source]
- Slow HTTP Header DoS
Hash DoS[edit | edit source]
- 다량의 POST 파라미터를 보내서 Hash Table의 충돌을 유도하여 부하를 증가시킨다.
Hulk DoS[edit | edit source]
- http get 요청을 다량으로 하면서 접속대상주소를 지속적으로 변경하면서 공격
- 파라미터를 계속 변경하면서 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