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전송

IT위키
221.163.90.111 (토론)님의 2019년 7월 28일 (일) 17:11 판
Data Transmission

방향에 따른 구분

단방향 통신

Simplex Mode
  • 송수신 방향이 고정되어 있다.
  • 이란적으로 통신회선을 2선식으로 구성한다.
  • ex) 라디오, TV 등

반이중 통신

Half Duplex
  • 송수신 방향이 정해져있지만, 그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순 없고 교대로 이루어진다.
  • 전송 방향 조정 시 Turnaround Time이 소모된다.
  • ex) 무전기

전이중 통신

Full Duplex
  • 양방향으로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하다.
  • 일반적으로 2개의 2선식 채널이 필요하다.
    • 반이중 통신을 쌍으로 구성한 것과 같다.
  • 회선 비용은 비싸지만 Turnaround Time을 줄임으로써 전송 효율이 높다.

직렬전송과 병렬전송

직렬 전송

Serial Transmission
  • 하나의 문자정보를 나타내는 각 데이터 비트를 직렬로 나열한 후 하나의 통신회선에 순차적으로 1비트씩 전송
  • 데이터 전송 속도 느림
  • 구축이 쉽고 경제적

병렬 전송

Parallel Transmission
  • 문자 단위 등 여러 비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
  • 데이터 전송 속도 빠름
  • 흐름제어 필요
    • 수신측이 현재 데이터 수신중임을 알리기 위해 Busy 신호 사용
    • 문자와 문자 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Strobe 사용

동기 전송과 비동기 전속

비동기식 전송 방식

Asynchronous Transmission
  • 작은 비트블럭(보통 5~8비트 문자 단위)의 앞뒤에 각각 start bit와 stop bit를 삽입하여 동기화하는 방식
    • 일반적으로 start bit는 1, stop bit는 0
  • start-stop 전송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각 문자와 문자의 전송사이에는 휴지기간이 존재하여, 스톱비트를 계속 전송
  • 단순하고 저렴하지만 전송 효율이 낮다.
    • start/stop bit, 패리티 bit 사용에 따라 약 80%의 효율을 가진다.
  • 300bps ~ 1200bps 정도의 저속 전송에 사용

동기식 전송 방식

Synchronous Transmission
  • 한 문자단위가 아니라 여러 문자를 수용하는 데이타블럭 단위로서 전송하는 방식
  • 양측에 설치된 모뎀이나 다중화기 등과 같은 기기에 의해 타이밍 조정
  • 동기문자나 플래그 등을 사용하여 송수신측간의 데이타블럭을 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터미널에는 버퍼장치가 요구됨
  • 전송 효율이 높아 대부분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이용
  • 보통 2400bps 이상의 전송 속도에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