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pages
From IT Wiki
- 00:59, 25 October 2024 네임 서버 (hist | edit) [1,176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Name Server''' 네임 서버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도메인 이름을 해당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 상에서 모든 기기나 서버는 IP 주소를 통해 서로 통신하지만, 사람이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를 기억하기 어려워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게 된다. 네임 서버는 이러한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 Tag: Visual edit
- 11:38, 24 October 2024 모바일 IP (hist | edit) [2,710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모바일 IP'''는 '''IETF'''에 의해 개발된 프로토콜로, 장치가 네트워크를 이동할 때도 원래의 홈 주소(Home Address)를 유지하며 통신할 수 있도록하는 시스템이다. * 기존 IP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변경 시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받아 기존 연결이 끊어지지만, 모바일 IP는 이를 해결하여 네트워크 이동성(Mobility)을 보장한다. 주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장치 이동 중에...) Tag: Visual edit
- 11:34, 24 October 2024 CoA (hist | edit) [2,273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 상위 개념: '''모바일 IP''' '''Care of Address, CoA'''<ref>한국어 표현이 별도로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불리는 영어 약어를 대표명으로 함</ref> CoA는 모바일 IP(Mobile IP)에서 사용자가 원래 네트워크를 벗어나 새로운 네트워크에 접속했을 때, 해당 네트워크에서 임시로 할당받는 IP 주소이다. 모바일 IP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이동 중인 장치가 네트워크를 변경해도 지...) Tag: Visual edit
- 10:09, 24 October 2024 왈시 코드 (hist | edit) [3,920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Walsh Code''' 왈시 코드는 CDMA에서 사용되는 직교 코드 중 하나로, 서로 다른 사용자 간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CDMA 시스템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때, 각 사용자가 고유한 직교 코드를 사용해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이를 통해 여러 사용자가 신호 간섭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 특징 == '''직교성:''' * 왈시 코...) Tag: Visual edit
- 07:01, 24 October 2024 무선 링크 (hist | edit) [1,830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Wireless Link''' '''무선 링크'''는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무선 신호로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연결을 말한다. 사용되는 기술에 따라 다양한 거리에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무선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린다. == 종류 == 대표적인 무선 링크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Wi-Fi''': 주로 로컬 네트워크(LAN)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연결할 때 사용...) Tag: Visual edit
- 06:48, 24 October 2024 무선 호스트 (hist | edit) [320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Wireless Host''' 무선 호스트는 아래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 랩탑 * 스마트폰 * IoT 디바이스 * 데스트톱 * 서버 * 스테이션 '''무선 호스트라고 항상 이동 가능한 모바일 장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Tag: Visual edit
- 00:44, 23 October 2024 애저 IoT 엣지 (hist | edit) [3,450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Azure IoT Edge는 Microsoft Azure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사용자가 인공지능(AI), 분석, 맞춤형 로직 등의 클라우드 작업을 IoT 장치에 직접 배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접근 방식은 데이터 소스에 가까운 곳에서 데이터 처리와 의사 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엣지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여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대역폭 사용을 줄인다. == 주요 기능 == # '''로컬 데이터 처리''':...) Tag: Visual edit
- 09:59, 21 October 2024 리프트 곡선 (hist | edit) [6,405 bytes] 핵톤 (talk | contribs) (새 문서: '''Lift Curve''' '''리프트 곡선'''(한국어로 '''향상 곡선'''으로도 불린다)은 '''이진 분류''' 문제에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도구로, ]'''모델이 랜덤 추측에 비해 얼마나 더 나은 결과를 내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불균형 데이터셋'''에서 모델이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 파일:리프트 곡선 예시.png == 그래프 구성 == * '''Lift''':...) Tag: Visual edit
- 04:03, 21 October 2024 ROC 곡선 (hist | edit) [8,533 bytes] 핵톤 (talk | contribs) (새 문서: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곡선은 분류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로, 주로 이진 분류 문제에서 모델이 얼마나 잘 분류하는지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ROC 곡선은 다양한 임계값에서 모델의 '''민감도(양성 탐지율)'''와 '''거짓 양성 비율'''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 ROC 곡선의 구성 요...) Tag: Visual edit
- 03:19, 21 October 2024 민감도 (hist | edit) [2,176 bytes] 핵톤 (talk | contribs) (새 문서: '''Sensitivity''' 데이터 과학에서 '''민감도'''는 주로 분류 모델의 성능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로, '''참 양성 비율(True Positive Rate, TPR)'''을 나타낸다. 즉, 실제로 양성(Positive)인 데이터를 모델이 얼마나 잘 찾아내는지를 의미한다. == 공식 == Sensitivity = True Positive[TP] / (True Positive[TP] + False Positive[FP]) == 활용 == 이 지표는 특히 '''의료 분야'''와 같이 양성 사례...) Tag: Visual edit
- 00:11, 21 October 2024 안드로이드 API 레벨 (hist | edit) [4,522 bytes] 웹개발자 (talk | contribs) (새 문서: '''안드로이드 API 레벨'''은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의 특정 버전을 나타내는 숫자 코드이다. 각 API 레벨은 해당 버전에서 추가된 기능, 변경된 동작 및 보안 개선 사항을 포함하며, 개발자가 앱을 개발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된다. 안드로이드의 API 레벨은 앱의 호환성과 기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개발자는 특정 API 레벨에 맞춰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 API 레벨의...) Tag: Visual edit
- 06:07, 20 October 2024 다중 접속 엣지 컴퓨팅 (hist | edit) [2,411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 다중 접속 엣지 컴퓨팅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 개념은 특히 5G 네트워크와 IoT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주요 특징 == '''다양한 접속 네트워크''': * MEC는 모바일 네트워크(예: 5G), Wi-Fi, 고정 네트워크 등 여러 접속 방식을 지원한다. '''로컬 데이...) Tag: Visual edit
- 06:02, 20 October 2024 MEC (hist | edit) [682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MEC는 IT 업계에서 두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5G의 등장과 함께 먼저 나온 개념으로, 초저지연 초고대역폭이지만 가동 범위가 짧은 5G의 특수성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개념이다. * '''다중 접속 엣지 컴퓨팅(Multi-access Edge Computing)''': 요즘은 이 개념이 더 많이 사용된다. Mobile은...) Tag: Visual edit
- 05:40, 20 October 2024 폼 팩터 (hist | edit) [1,176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Form Factor''' '''폼팩터'''는 특정한 기기나 부품의 물리적 크기, 형태, 그리고 구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이다. 주로 정보통신 분야에서 어떤 형태의 기기를 가리키는지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 == 폼팩터의 예시 == * '''PC 폼팩터''': ATX, Micro-ATX, Mini-ITX 등과 같은 컴퓨터 마더보드의 크기와 배치를 정의한다. * '''서버 폼팩터''': 1U, 2U 등의 랙 서버의 높이를 정...) Tag: Visual edit
- 03:34, 17 October 2024 자기 설명적 데이터 모델 (hist | edit) [2,883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Self-Describing Data Models'''자기 설명적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같은 구조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 모델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 자체가 구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별도의 외부 스키마가 없어도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다. == 특징 == * '''메타데이터 내장''':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구조적 정보가 함께 저장되므로, 어떤 형식...) Tag: Visual edit
- 03:23, 17 October 2024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hist | edit) [2,570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Database User; Database Actor'''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는 좁은 의미로는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이용하는 사람(Actors on the Scence)을 가리키지만, 광의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데이터베이스가 설치된 시스템을 관리하는 사람까지(Workers Behind the Scence) 포함한다. == 현장에서 활동하는 사람들 == '''Actors on the Scene''' 이 그룹은 '''데이터베이스를 실제로 사용하거나, 애...) Tag: Visual edit
- 03:08, 17 October 2024 미니 월드 (hist | edit) [495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데이터베이스와 정보 시스템의 맥락에서, “미니월드”는 실제 세계의 특정 환경을 단순화하여 나타낸 모델을 의미한다. 시스템에서 필요한 관련된 측면만을 캡처한 추상화라고 할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관 데이터베이스의 미니월드는 책, 대출자, 대출 기록과 같은 정보는 포함하지만 건물의 건축 양식과 같은 무관한 세부 사항은 제외할 수 있다. 분류:데이...) Tag: Visual edit
- 22:15, 15 October 2024 RC4 (hist | edit) [452 bytes] Kusun1020 (talk | contribs) (RC4 (Rivest Cipher 4) 핵심 정리) Tag: Visual edit
- 05:26, 15 October 2024 절차적 표현법 (hist | edit) [1,627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Procedural Expression; Procedural Approach; Procedural Language;''' 절차적 표현법이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확한 단계나 절차를 정의gㅏㄴ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어떻게''' 수행할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 절차적 접근법, 절차적 언어, 절차적 프로그래밍 등으로도 쓸 수 있다. == 절차적 표현법의 특징 == # '''과정 중심''': 절차적 프로그래밍에서...) Tag: Visual edit
- 05:24, 15 October 2024 선언적 표현법 (hist | edit) [1,864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선언적 표현법이란 특정한 작업이나 연산을 수행하는 방법을 명시하지 않고, 원하는 결과나 상태를 설명하는 표현 방식이다. 간단히 말해, '''어떻게''' 수행할지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원한다고 설명하는 것이다. == 선언적 표현법의 특징 == # '''결과 중심''': 선언적 프로그래밍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명시한다. 예를 들어, SQL 쿼리에서는 어...) Tag: Visual edit
- 03:59, 13 October 2024 데이터베이스 강한 개체 (hist | edit) [1,975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 상위 개념: 데이터베이스 개체 '''Database Strong Entity''' '''데이터베이스 강한 개체'''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자'''를 통해 다른 개체와 구별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단위이다. 강한 개체는 다른 개체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기본 키(Primary Key)를 통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다. == 강한 개체의 특징 == # '''고유한 식별자''': 강한 개체는...) Tag: Visual edit
- 03:56, 13 October 2024 데이터베이스 개체 (hist | edit) [3,726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Database Entity '''데이터베이스 개체'''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독립적으로 식별될 수 있는 객체''' 또는 데이터를 표현하는 실제 실체를 의미한다. 개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실세계의 대상을 추상화한 것'''이다. 각 개체는 '''속성'''을 가지며,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를 '''테이블'''로 구현할 수 있다. * 다른 말로, 현실 세계에...) Tag: Visual edit
- 03:52, 13 October 2024 데이터베이스 약한 개체 (hist | edit) [3,575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 상위 문서: 데이터베이스 개체,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Weak Entity'''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에서 약한 개체는 그 자체로 고유한 기본 키를 가지지 않고 다른 강한 개체(strong entity)의 기본 키에 의존해서 식별되는 엔티티이다. Weak entity는 존재적으로 독립적이지 않고, 항상 그와 관련된 strong entity와 함께 존재해야 한다. 이 관계는 '식별 관계'라고 한다. == 필요...) Tag: Visual edit
- 14:17, 12 October 2024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 (hist | edit) [2,312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Database Instance'''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는 특정 시점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실제 내용을 나타낸다. == 스키마와의 차이 ==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반면, 인스턴스는 그 구조를 바탕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상태를 의미한다.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잘 변하지 않지만 인스턴스는 데이터가 삽입, 수정, 삭제...) Tag: Visual edit
- 14:03, 12 October 2024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hist | edit) [4,097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Database Schema)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청사진 또는 모델이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테이블, 열, 데이터 타입, 관계 및 제약조건 등을 포함하여 데이터가 어떻게 조직되고 저장될지를 설명한다. == 구성 요소 == # '''테이블 (Tables)''': #*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이다. 각각의 테이블은 특정 주제나 개체를 나타낸다. #*...) Tag: Visual edit
- 13:59, 12 October 2024 데이터베이스 Full Outer Join (hist | edit) [1,635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Full Outer Join '''Full Join'''(또는 '''Full Outer Join''')은 두 테이블의 모든 행을 반환하는 조인 방식이다. 두 테이블 간의 일치하는 데이터를 조인하고,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도 포함된다. == Full Join의 동작 방식 == * '''Full Join'''은 '''왼쪽 테이블'''과 '''오른쪽 테이블''' 모두에서 일치하는 행을 반환한다. * 만약 한 테이블에서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해당 행에 대한 다른...) Tag: Visual edit
- 13:43, 12 October 2024 데이터베이스 자연 조인 (hist | edit) [876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 상위 개념: 데이터베이스 조인 '''Natural Join''' 데이터베이스에서 자연 조인이란 두 테이블에서 공통된 속성(열, attribute)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데이터를 결합하는 조인을 말한다. 즉, 두 테이블에 이름이 같은 열이 있으면, 그 열을 기준으로 같은 값을 가진 행을 결합한다. == 특징 == * 조건을 따로 명시하지 않아도, 이름이 동일한 열들 간에 '''동등 조건'''으로...) Tag: Visual edit
- 00:39, 12 October 2024 비트 대 잡음비 (hist | edit) [3,161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E<sub>b</sub>/N<sub>0</sub>, Energy per bit to Noise Power Spectral Density Ratio '''비트 대 잡음비'''는 각 비트당 에너지(Eb)**와 '''잡음의 전력 밀도(N0)''' 간의 비율을 나타내며, 디지털 통신에서 신호 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 의의 == * 디지털통신시스템 설계/운용 목표 => E<sub>b</sub>/N<sub>0</sub>의 최소화 ** 통신시스템 관점에서 E<sub>b</sub>/N<sub>0</sub>가 최소가 되도록 시...) Tag: Visual edit
- 22:44, 11 October 2024 나리아 (hist | edit) [144 bytes] 이유다 (talk | contribs) (새 문서: 섬네일)
- 10:02, 11 October 2024 비트 오류율 (hist | edit) [1,028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Bit Error Rate, BER''' 비트 오류율은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된 비트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 정의 == 아래의 단순한 공식을 가진다. * BER = 에러 비트 / 전체 전송 비트 == 신호 대 잡음비과의 관계 == 비트 오류율은 신호 대 잡음비 (SNR)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일반적으로 SNR이 증가하면 BER이 감소한다. * 이는 신호가 잡음에 비...) Tag: Visual edit
- 09:27, 11 October 2024 신호 대 잡음비 (hist | edit) [1,840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Signal-to-Noise Ratio, SNR''' 줄여서 SNR이라고 많이 부른다. 신호 대 잡음비는 통신 및 신호 처리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측정 지표로, 원하는 '''신호의 수준'''을 '''배경 잡음의 수준'''과 비교한다. * SNR이 높을수록 신호가 더 선명하게 전달되며, 낮을수록 잡음이 신호에 비해 더 두드러지게 된다. == 정의 및 공식 == SNR의 공식은 단순히 아래와 같다. * 신호...) Tag: Visual edit
- 03:00, 10 October 2024 스크램블링 인코딩 (hist | edit) [6,207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Scrambling Technique''' 스크램블링 기법은 독자적인 인코딩 기법이라 보긴 어렵고 다른 인코딩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는 기법이라고 보아야 한다. == 스크램블링 기법 == Scrambling은 특정 비트열이 신호 상에서 일정한 전압 상태(예: 지속적인 0 또는 +, -의 패턴)를 발생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다. 주요 목적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의...) Tag: Visual edit
- 02:25, 10 October 2024 NRZ 인코딩 (hist | edit) [2,051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Non-Return to Zero''' 참고로 아래 문서에서 말하는 +5v는 그냥 예를 들기 위한 전압이다. 항상 +5v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그냥 특정 양의 전압 또는 음의 전압이면 된다. 대체글=NRZ-L과 NRZI 기법|섬네일|NRZ-L과 NRZI 기법 == NRZ-L == '''Non-Return to Zero-Level''' * 두개의 다른 볼트(예를 들어 0과 +5V)가 0과 1비트에 맞게 변한다. * 하나의 볼트값은 하나의 비트에...)
- 01:52, 10 October 2024 이중 위상 인코딩 (hist | edit) [3,323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Biphase Encoding''' 이중 위상 인코딩은 한 신호 안에 두개의 위상이 다 있기 때문에 이중 위상(Biphase)이라고 불린다. 한 신호 안에서 올라가고 내려가는 방향을 통해 0 또는 1을 나타낸다. == 맨체스터(Manchester) == 500x500픽셀 * 각 이진 값을 전달하는 그 사이에 전압이 바뀐다. ** 중간에 올라가면 1, 중간에 내려가면 0이다. === 알고리즘 코드...) Tag: Visual edit
- 05:25, 9 October 2024 다중 레벨 이진 인코딩 (hist | edit) [5,481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섬네일|다중 레벨 이진 인코딩 '''Multilevel Binary Encoding''' == Bipolar-AMI == '''Bipolar Alternate Mark Inversion''' 한국에서는 '''양극성 AMI''' 또는 '''양극성 대체 마크 반전'''이라는 표현들이 간혹 사용되나 영어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이진 값이 0일 땐 전압도 0이다. * 이진 값이 1일 땐 전압이 움직인다. 이때 교대로 움직인다. ** 첫번...) Tag: Visual edit
- 01:50, 9 October 2024 직류 성분 (hist | edit) [1,659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DC Component''' 직류 성분은 신호의 평균 전압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주파수 도메인에서 신호의 직류(DC) 성분이란 0 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성분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신호가 시간에 따라 변할 때, 그 신호의 평균적인 전압 수준을 나타낸다. === 직류 성분의 의미: === # '''평균 전압''': 직류 성분은 신호의 평균 전압 값으로, 이 값이 0이 아닌 경우 신호가 지속적으로...) Tag: Visual edit
- 01:48, 9 October 2024 디지털 신호 인코딩 (hist | edit) [4,030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 관련 개념 == === 단극과 양극(Unipolar vs Polar) === 기본적으로 단극성이 구현이 쉽다. 하지만 양극성이 장점이 신호의 폭도 크고, 직류성이 없다는 장점이 확실히 크다. '''단극성(Unipolar)''' * +극 또는 -극 하나만 존재한다. 즉 0과 하나의 극 2가지로 이루어진 신호이다. (보통 +극만 사용한다.) 예를 들어, 0과 +5V 사이에서 변동하는 신호가 단극성 신호이다. '''양극성(P...) Tag: Visual edit
- 01:25, 9 October 2024 디지털 신호 (hist | edit) [1,893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Digital Signal''' '''디지털 신호'''는 이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압 펄스 신호이다. 즉 연속적인 0과 1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속적인 전압 펄스이다. * 불연속적인 전압 펄스의 연속 ** 각 펄스는 신호 요소 * 이진 데이터(0, 1)는 각 데이터 비트를 신호 요소(+5v, -5v 등)로 인코딩됨 == 관련 용어 == '''단극성(Unipolar)''' * +극 또는 -극 하나만 존재한다....) Tag: Visual edit
- 09:14, 4 October 2024 위상 변조 (hist | edit) [4,584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Phase Modulation, PM''' 위상 변조는 신호의 위상을 변형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변조 방식이다. 즉, 신호의 진폭이나 주파수는 유지한 채,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데이터를 표현한다. 위상 변조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통신 모두에서 사용되며, 특히 디지털 신호 전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의의 == 위상 변조에서는 위상의 변화를 통해 정보를 실어 나른다. 일반적...) Tag: Visual edit
- 08:56, 4 October 2024 위상 (hist | edit) [1,833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Phase; 位相;''' 위상은 주기적인 신호나 파동이 특정 시점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물리적 개념이다. 주기적인 신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반복하는데, 위상은 그 신호가 한 주기 내에서 어떤 상태에 있는지, 즉 신호의 진행 정도를 각도로 표현한다. * 보통 0도부터 360도까지의 범위로 위상을 나타내며, 주기가 360도를 기준으로 순환한...) Tag: Visual edit
- 07:31, 4 October 2024 ER 모델 릴레이션 변환 (hist | edit) [5,763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ER-to-Relational Mapping''' ER 모델 릴레이션 변환은 개체-관계(ER) 모델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각 단계는 ER 모델에서 사용된 다양한 개체와 관계들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로 적절히 매핑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단계 요약 == '''ER-to-Relational Mapping Algorithm''' * Step 1: Mapping of Regular Entity Types * Step 2: Mapping of Weak Entity Types * St...) Tag: Visual edit
- 06:34, 4 October 2024 슈퍼 키 (hist | edit) [794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Super Key''' 슈퍼 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한 테이블의 '''튜플(행)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들의 집합'''을 말한다. 즉, 테이블 내에서 각 행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속성들의 조합이다. 슈퍼 키는 '''기본 키'''(Primary Key)와 관련이 있지만, 반드시 최소한의 속성들로만 구성될 필요는 없다. 슈퍼 키에는 다른 속성이 포함될 수 있지만,...) Tag: Visual edit
- 03:01, 4 October 2024 웹 아키텍처 (hist | edit) [3,901 bytes] 파네라 (talk | contribs) (새 문서: == 발전 == === 정보 제공 웹 (웹 1.0) === * '''아키텍처''': 초기 웹은 주로 정적인 내용을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어 HTML 페이지를 사용했다. * '''프로토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이 웹 페이지 전송을 위해 주로 사용되었다. * '''개선 사항''': ** 정적 HTML 페이지는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페이지 간 탐색할 수 있게 했다. ** 웹 서버(예: 아파치)의...) Tag: Visual edit
- 11:55, 3 October 2024 데이터베이스 집계 (hist | edit) [2,534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Aggregation '''집계'''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두 개 이상의 엔티티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모델링 개념으로, 이러한 엔티티의 조합적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식이다. == 의의 == 집계(Aggregation)는 관련 엔티티를 하나의 단위로 그룹화하여 더 높은 수준의 추상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관계 자체가 추가적인 속성을 요구하거나 복잡한 관계를 단일 엔티티로 표현하...) Tag: Visual edit
- 11:33, 2 October 2024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 (hist | edit) [8,371 bytes] 핵톤 (talk | contribs) (새 문서: Windows Command Prompt; cmd.exe; 윈도우 CMD, Windows CMD == 명령어 == === 주요 명령어 === {| class="wikitable" !커맨드 !동작 |- |CD [이동할 경로] |커맨드창 위치이동 |- |dir |현재 위치의 파일과 디렉토리(폴더) 목록 보기 |- |help |명령어 도움말 보기 (명령 프롬프트 명령어를 모두 보여준다) |- |ipconfig |네트워크 설정상태 보기(/all 옵션을 붙여 상세한 설정 정보를 볼 수 있다) |- |md [생...) Tag: Visual edit
- 23:14, 28 September 2024 N-fold 교차 검증 (hist | edit) [2,332 bytes] 핵톤 (talk | contribs) (새 문서: '''N-fold Cross-Validation''' N-fold 교차 검증은 '''데이터셋을 N개의 부분으로 나눈 후, 그중 하나를 테스트 세트로, 나머지를 훈련 세트로 사용해 모델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과정을 N번 반복하며, 각 부분이 한 번씩 테스트 세트로 사용된다. 마지막에 N번의 평가 결과를 평균하여 모델의 성능을 측정한다. == 설명 == N-fold 교차 검증은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평가...) Tag: Visual edit
- 23:49, 27 September 2024 기저율 (hist | edit) [2,125 bytes] 핵톤 (talk | contribs) (새 문서: '''Base Rate''' 기저율은 특정 사건이나 상태가 발생할 확률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통계값이다. 이는 별다른 추가 정보 없이 주어진 집단 내에서 해당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나타낸다. == 특징 == 기저율은 종종 의사결정 과정에서 무시되거나 간과되기 쉬운 값이다. 특히 개인적이거나 특수한 정보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경향이 있을 때 기저율은 잘못 해석되거나 왜곡...) Tag: Visual edit
- 12:44, 26 September 2024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정의 무결성 (hist | edit) [2,152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User-Defined Integrity''' 사용자 정의 무결성은 비즈니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요구사항에 따라 정의되는 규칙으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나 개발자가 설정하는 제약조건이다. 이 무결성 유형은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제약조건과는 다르게, 각 조직의 비즈니스 로직이나 정책에 맞추어 맞춤형으로 설정된다. == 특징 == '''비즈니스 규칙 기...) Tag: Visual edit
- 12:32, 26 September 2024 데이터베이스 도메인 무결성 (hist | edit) [2,259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Domain Integrity''' 도메인 무결성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속성(열)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와 유형을 정의하여, 유효한 데이터만 입력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규칙이다. 도메인 무결성은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및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 주요 요소 == 도메인 무결성은 각 데이터 열에 대해 허용되는 값의 집합을 정의하며, 이는 데이터 유형, 길이,...) Tag: Visual edit
- 12:29, 26 September 2024 데이터베이스 참조 무결성 (hist | edit) [2,472 bytes] SOLO (talk | contribs) (새 문서: '''Referential Integrity''' 참조 무결성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외래 키(foreign key)가 다른 테이블의 주 키(primary key)와 일관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함을 보장하는 규칙이다. 이는 데이터 간의 관계가 올바르게 형성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 참조 무결성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여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중...) Tag: Visu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