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뉴딜
From IT Wiki
추진 배경
- 감염병 위기가 경제로 전이 → 글로벌 보건·경제 동반 위기
- 전례 없는 감염병 사태로 인적·물적 이동 위축이 경제침체로 이어지는 보건·경제 동반위기 하에 수요·공급 위축이 동시에 진행
- 글로벌 경제구조 변화상황에서 국내외 경기침체 심화로 고용상황 악화 장기화 및 신산업분야 투자 활력 저하 우려
- 코로나19 계기→비대면의 일상화·디지털경제 전환 가속화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우리 경제전반의 비대면화(Untact)와 디지털 전환등 4차 산업혁명 가속화
- 온라인 플랫폼 기반 온라인 교육, 비대면 의료, 원격근무 등 비대면 활동 속도와 범위가 급속히 증가
- 이 과정에서 데이터 수집·축적·활용 인프라와 초고속 정보통신망에 대한 수요도 크게 확대
- 한국판 뉴딜 → 경제 혁신 +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 코로나19 계기, 경제 분야 구조적 변화 등에 대한 선제적·종합 대응은 '경제·산업분야 Post-코로나 TF' 중심으로 총괄·조정
- TF는 거시·총괄, 산업·중기, 고용, 바이오 산업, 국토·교통, 과학·IT 등 6개반 구성(팀장: 기재부 1차관)
- 한국판 뉴딜은 경제·사회 구조 변화 중, 특히 비대면화·디지털화 대응에 중점 → 디지털 기반 경제혁신 가속화 및 일자리 창출 추진
추진 방향
추진 목표
- (경제구조 고도화) Post-코로나 시대 경제·사회구조 변화에 대응, 혁신성장 동력 확충 → 잠재성장력 제고
- ICT 등 우리 강점분야에 집중 투자, 기존 산업과의 융복합 촉진 → 산업 경쟁력 강화, 글로벌 신산업시장 선점
- (지속가능 일자리 창출) 혁신 프로젝트 추진, 융복합산업 활성화 과정에서 미래세대까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 선순환 구조 구축
프로젝트/과제 선정 4대 원칙
- 우리 경제 디지털 경쟁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기반 프로젝트에 집중 → 21세기형 뉴딜
- 정부 투자를 통한 민간투자 확대 시너지 효과가 크고,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분야
- 민간사업을 구축·잠식하는 프로젝트는 지양
- 전산업·전분야의 기초가 되는 혁신 인프라로서, 경제전반의 혁신확산 및 생산성·경쟁력 제고와 직결되는 분야
- '선택과 집중'을 통해 임팩트 있는 대규모 혁신 프로젝트 선정
- 경제 파급 영향이 작은 소규모 세부사업 지양
추진 방향
- 2~3년 시계에서 국민체감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대규모 혁신 프로젝트를 과감히 속도감 있게 추진
- 기존사업의 경우 당초 추진일정을 최대한 앞당겨서 시행
- 정부투자 +민간투자의 시너지 효과 극대화, 규제개혁 등 제도개선을 병행 추진하여 '경제구조 고도화+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 세부 구분 | 중점 과제 |
---|---|---|
1.디지털
인프라 구축 |
데이터
수집·활용 기반구축 |
|
5G 등
네트워크 고도화 |
| |
AI
인프라 확충 및 융합확산 |
| |
2. 비대면 산업 육성 |
| |
3. SOC 디지털화 |
| |
▲▲▲▲▲
사람 투자를 통한 디지털 선도인력 양성 |
3대 프로젝트, 10대 중점과제
혁신성장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
- 1. 데이터 ①수집-②개방·결합-③거래-④활용 全주기 인프라 강화
- (수집ㆍ개방) 공공ㆍ금융ㆍ의료 등 주요 분야 데이터 개방 확대
- (거래) 민간 데이터 맵 구축 등 데이터 거래ㆍ유통 지원 강화
- (활용) 데이터·AI펀드 조성 등 데이터의 산업적 활용기반 마련
- 2. 국민체감 핵심 6대 분야 데이터 수집ㆍ활용 확대
- 국민 체감도가 큰 분야에서 데이터 활용 활성화
분야 | |
---|---|
금융 | 비금융정보 기반 신용평가업 도입 및 금융 마이데이터 산업 제도 마련 |
의료 | 마이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및 의료데이터 활용전략 마련 |
교통 |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
공공 | 데이터 SOS팀 운영 및 데이터 진위 조회 신규서비스 도입 |
산업 | 제조데이터 수집·저장 센터 구축 |
소상공인 | 상권정보시스템에 POS 데이터 활용 및 AI기반 상권분석정보 제공 |
- 3. 혁신기반 마련을 위한 5G 인프라 조기 구축
- 민간 5G 전국망 조기 구축을 촉진하고, 공공와이파이 등 공공 정보통신망 확충
- 4. 도시, 산업현장 등에 5G+ 융복합 사업 촉진
- 제조업 등 산업현장에 5G+ 실감컨텐츠를 접목하여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안전ㆍ교통 등 분야에 5G+ 스마트시티 기술 도입
- 5. AI 본격 활용 촉진을 위한 AI 데이터ㆍ인프라 확충
- 음성·행동인식, 언어·시각정보 이해 등 AI 학습용 빅데이터를 조기 구축하고, AI·SW 전문인력 집중 양성
- 6. 전산업으로 AI 융합 확산
- 제조업 전반 및 중소·벤처기업 등에 지능형 생산공정을 도입하고, 'AI 융합 프로젝트'를 통해 전분야로 혁신 AI 서비스 확산
Post-코로나 시대 대응을 위한 비대면 산업 육성
- 7. 비대면 서비스(교육 등) 확산 기반 조성
-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AI기반 원격교육지원 플랫폼 구축 등 미래형 디지털 교육환경 조성
-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화상연계 방문건강관리 등 기존 디지털 기반 비대면의료 시범사업 및 코로나 방역 계기 시범사업 확대
- 8. 비대면서비스 활용 촉진을 위한 클라우드 및 사이버안전망 강화
- 블록체인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 보안 시범사업 추진 및 공공부문 클라우드 정보시스템 확대
- 점증하는 사이버보안위협에 대비,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확대
안전ㆍ편리한 국민생활을 위한 SOC 디지털화
- 9. 국민 안전 등을 위한 노후 국가기반시설 디지털화
- 도로, 철도 등 노후 시설물 스마트 관리체계를 도입하여 안전성을 제고하고 국가기반시설 관련 데이터 수집ㆍ가공ㆍ공유 확대
- 10. 첨단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물류서비스 체계 구축
- 도심 인근, 유휴부지에 스마트 물류센터 등 첨단 물류시설 확충
- 로봇, IoT 등 첨단 물류기술 실증을 위한 테스트 베드 구축
향후 추진계획
- 향후 일정
- (5월 2주, 잠정) ‘한국판 뉴딜 추진 TF’ Kick-off 회의
- (5월 2주~4주) 한국판 뉴딜 관련 세부사업 검토
- (6월 초)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 발표 계기에 「한국판 뉴딜세부 추진방안」발표
- 한국판 뉴딜 최종방안은 추후 발표
- 예산 관련 사항
- 금년 내 집행이 가능한 사업은 3차 추경 반영
- 여타 사업은 2021~2022년 예산안에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