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2022년 2회 64번

IT위키
Maintenance script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0월 22일 (토) 01:01 판 (Imported from text file)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문제[편집 | 원본 편집]

64. IP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필드와 해당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Header Length는 IP 프로토콜의 헤더 길이를 32비트 워드 단위로 표시한다.
  • ② Packet Length는 IP 헤더를 제외한 패킷 전체의 길이를 나타내며 최대 크기는 232-1비트이다.
  • ③ Time To Live는 송신 호스트가 패킷을 전송하기 전 네트워크에서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을 지정한 것이다.
  • ④ Version Number는 IP 프로토콜의 버전번호를 나타낸다.

풀어보기[편집 | 원본 편집]

정답[편집 | 원본 편집]

  • 2번

해설[편집 | 원본 편집]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