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ISMS-P 인증 기준 2.10.2.클라우드 보안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세부 설명== ==== 책임관계 명확화 및 SLA 반영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계약서(SLA 등)에 반영하여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역할 및 책임(예시) {| class="wikitable"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 |- |'''IaaS''' | * 물리적 영역의 시설 보안 및 접근통제 *호스트 OS에 대한 보안 패치 *하이퍼바이저 등 가상머신에 대한 보안 관리 등 | *게스트 OS, 미들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보안 패치 *게스트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사설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보안 구성 및 설정 *데이터 보안 *관리자, 사용자 권한 관리 등 |- |'''PaaS''' | * IaaS 영역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 및 책임 * 네트워크 영역의 보안 설정 *게스트 OS 및 미들웨어 영역에 대한 보안패치, 보안 구성 및 설정 | *애플리케이션 보안 패치 및 보안 설정 *데이터 보안 *관리자, 사용자 권한관리 등 |- |'''SaaS''' | *IaaS, PaaS 영역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 및 책임 *애플리케이션 보안 패치 및 보안 설정 *데이터 보안(데이터 레벨의 접근통제, 암호화 등) 등 | *애플리케이션 관리자, 사용자 권한 관리 등 |} ※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 서비스 구성 및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클라우드 보안 위험 평가 및 정책 수립·이행====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서비스 유형에 따른 보안위험을 평가하여 비인가 접근, 설정오류 등을 방지할 수있도록 보안 구성 및 설정 기준, 보안설정 변경 및 승인 절차, 안전한 접속방법, 권한 체계 등 보안 통제 정책을 수립·이행하여야 한다.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위험 평가 : 서비스 품질 및 연속성, 법적 준거성, 보안성 측면 등 고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위험평가 결과를 반영한 보안통제 정책 수립·이행 <blockquote>'''※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통제 정책(예시)(클라우드 서비스 유형에 따른 특성 반영 필요)''' *보안 관리 관련 역할 및 책임 *사설 네트워크 보안 구성 및 접근통제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계정 및 권한 관리(최고관리자 및 분야별 관리자 등)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에 대한 강화된 인증(OTP 등) *보안 설정 기준(인증, 암호화, 세션관리, 접근통제, 공개설정, 장기미사용 잠금, 로그기록, 백업 등) *보안 설정 등록·변경·삭제 절차(신청, 승인 등) *보안 구성 및 설정에 대한 적절성 검토 *클라우드 관리콘솔에 대한 접근통제 및 권한 관리 절차 *Access Key의 발급, 이용, 회수 등에 대한 관리 절차 *클라우드 서비스 원격접속 경로 및 방법(VPN, IP제한, 2 Factor 인증 등)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관제 및 알람·모니터링 방안 *보안감사 절차 등 </blockquote>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 최소화 및 통제====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은 역할에 따라 최소화하여 부여하고, 관리자 권한에 대한 비인가 접근, 권한 오·남용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화된 인증, 암호화, 접근통제, 감사기록 등 보호대책을 적용하여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 세분화 : 최고관리자, 가상네트워크 관리자, 보안관리자, DevOps 관리자 등 *업무 및 역할에 따라 관리자 권한 최소화 부여 *클라우드 관리자 권한 접속에 대한 강화된 인증 적용 : OTP, 보안키 등 *원격 접속 구간에 대한 통신 암호화 또는 VPN 적용 *클라우드 관리자 접속, 권한 설정에 대한 상세 로그 기록 및 모니터링 등 ====클라우드 보안 설정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설정 변경, 운영 현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그 적절성을 정기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승인받지 않은 환경설정 및 보안설정 변경을 적발할 수 있도록 알람 설정 및 모니터링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설정의 적정성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토 및 조치 **'''(주의사항)'''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접근, 정보시스템 접근, 데이터베이스 접근, 응용프로그램 접근 등 접근통제의 적절성, 인증 및 권한관리, 암호화, 시스템 및 서비스 보안관리 등 기타 필요한 보호조치가 모두 적용되어야 함.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