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7 스위치: 두 판 사이의 차이

IT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주요 기능 ==
== 주요 기능 ==
* '''전송제어''': IP헤더 및 페이로드 등 패킷을 분석<ref>https://driz2le.tistory.com/24?category=563475</ref>
* '''전송제어''': IP헤더 및 페이로드 등 패킷을 분석<ref>https://driz2le.tistory.com/24?category=563475</ref>
* '''로드밸랜싱''': HTTP URL 등 컨텐츠 내용 기반 부하분산
* '''[[로드 밸런싱]]''': HTTP URL 등 컨텐츠 내용 기반 부하분산
* '''QoS''': 세션별, 유저별, 애플리케이션별 대역 관리 가능
* '''[[QoS]]''': 세션별, 유저별, 애플리케이션별 대역 관리 가능
*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 수준의 트래픽 감시, 통제 가능
*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 수준의 트래픽 감시, 통제 가능
=== 로드 밸런싱 ===
* L4 로드 밸런싱과의 차이
** L4 스위치는 4계층의 프로토콜 상태 기준, L7 스위치는 애플리케이션 상태 기준
** 즉, L4 스위치는 TCP가 아예 죽어야 장애를 인식하지만, L7은 웹서비스의 장애를 인지 가능
== 구성 ==
[[파일:L7 스위치 구성 예시.png]]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0년 4월 30일 (목) 01:06 기준 최신판

L7 Switch; Layer 7 Switch

주요 기능[편집 | 원본 편집]

  • 전송제어: IP헤더 및 페이로드 등 패킷을 분석[1]
  • 로드 밸런싱: HTTP URL 등 컨텐츠 내용 기반 부하분산
  • QoS: 세션별, 유저별, 애플리케이션별 대역 관리 가능
  •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 수준의 트래픽 감시, 통제 가능

로드 밸런싱[편집 | 원본 편집]

  • L4 로드 밸런싱과의 차이
    • L4 스위치는 4계층의 프로토콜 상태 기준, L7 스위치는 애플리케이션 상태 기준
    • 즉, L4 스위치는 TCP가 아예 죽어야 장애를 인식하지만, L7은 웹서비스의 장애를 인지 가능

구성[편집 | 원본 편집]

L7 스위치 구성 예시.png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