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정보시스템 감리사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출제 기준== 2022년도 감리사 필기시험 세부 출제내용 ====1. 감리 및 사업관리==== {| class="wikitable" !'''No''' !'''출제분야''' !'''세부출제내용''' |- | rowspan="2" |1 | rowspan="2" |정보화 관련 법/제도 및 국내외 지침, 가이드 | * 정보화 및 소프트웨어 관련 법령 및 고시, 가이드 ** 전자정부법, 지능정보화기본법, 소프트웨어 진흥법 등 법령 **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지침, 공공데이터 관리지침, 공공기관의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지침, 전자정부 웹사이트 품질관리 지침, 전자정부 성과관리 지침, 소프트웨어사업 계약 및 관리감독에 관한 지침 등 고시 **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 CBD SW개발 표준 산출물관리 가이드 등 가이드 * 계약 관련 법령 및 예규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기준, 경쟁적대화에 의한 계약체결기준, 용역계약일반조건, 공동계약운용요령 등 계약예규 * 대가산정 관련 고시 및 가이드 **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 **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 | * IT 거버넌스, CoBIT 등 국외 관련 지침 |- |2 |감리 관련 법제도 및 관련 기술 | * 전자정부법, 정보시스템감리기준 등 감리 법제도 * 정보시스템 감리 관련 가이드 ** 정보시스템감리 발주관리가이드 및 감리수행가이드, 정보시스템 감리 운영 및 유지보수 감리 점검가이드(Ver 2.0), 정보시스템 감리원 윤리 가이드 등 가이드 |- |3 |조직 관리론 | * 조직구조, 조직이론, 조직설계 * 인적 자원관리, 의사소통관리 |- |4 |프로젝트관리 | * 프로젝트관리 관련 표준 및 가이드 ** KS A ISO 21500 등 프로젝트관리 관련 표준 등 ** PMBOK® Guide–6th Edition(2017) 등 * 통합/범위/자원/일정/위험/품질/성과/조달/변화 관리 등 |} ====2. 소프트웨어공학==== {| class="wikitable" !'''No''' !'''출제분야''' !'''세부출제내용''' |- |1 |요구사항분석 및 설계 | * 요구사항도출, 요구사항분석, 요구사항명세, 요구사항추적 * 객체지향 개념 * 설계원리 * UML모델링 * 아키텍처 스타일(계층구조, 클라이언트서버, 트랜잭션처리, MVC, 이벤트중심 등) * 설계패턴 *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 |2 |구현 및 테스트 | * 프로그래밍언어 및 환경(코딩원리, 코딩오류, 코딩스타일, UML과 코딩 등) * 웹접근성, 웹호환성 점검 * 단위, 모듈, 연계, 통합, 시스템, 인수 등 * 테스팅 방법 및 도구 * KS X ISO/IEC/IEEE 29119, KS X ISO/IEC 33063 SW테스트 관련 표준 |- |3 |유지관리 및 운영 | * 유지관리 개념 및 방법 * 형상관리 * ITSM, ITIL(SLA, SLM 등) * 재사용, 재공학, 역공학, Refactoring * 아웃소싱 |- |4 |개발방법론, SW 구조 및 공개SW | * 구조적, 정보공학, 객체지향 * CBD, Agile, 데브 옵스(DevOps), AOP 등 * 프로세스 모델: 폭포수, 프로타이핑, 점진적, 진화적, 나선형, V 모델 등 * 클린 아키텍처 * 웹기반기술구조, J2EE, 닷넷 등 개발 플랫폼 * 분산컴포넌트 기술, XML 등 *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 스프링프레임워크 * SOA, MSA * 웹서비스(SOAP, REST) * 오픈소스 개념 및 활용방법 |- |5 |SW 품질 및 비용산정 | * SW Product 품질 * SW Process 품질(CMM, SPICE, SP인증 등) * ISO12207, ISO 9126, ISO 25000 등 SW 품질관련 표준 * 품질보증 * 기능점수산정 * 비용산정 모델 |} ====3. 데이터베이스==== {| class="wikitable" !'''No''' !'''출제분야''' !'''세부출제내용''' |- |1 |DB 개념 및 설계 | * 데이터베이스시스템 개념 및 이론 * 데이터 모델의 개념, 관계형/객체지향 DB * 데이터베이스 설계, 정규화 * 데이터 아키텍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론v.4.0(NIA, 2014) * 데이터베이스 품질관리, 공공기관의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지침 |- |2 |DB 언어 | * 관계대수 * SQL, 내장 SQL, 절차형 SQL, ODBC/JDBC 등 |- |3 |DBMS 기술 | * DB 성능(인덱스, 튜닝), 트랜잭션, 동시성 제어 * 데이터 백업 및 복구,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저장장치, 메모리 DB * 데이터베이스 보안 |- |4 |DB 응용 | * 웹기반 정보시스템 * 정보검색, 검색엔진 * 멀티미디어, GIS 등 * 분산 DBMS, 모바일 DBMS * Open API, 공공데이터 |- |5 |빅데이터 및 AI데이터 | * 빅데이터 관련기술(저장, 처리, 분석, 시각화) * NoSQL * 데이터마이닝, DW * AI학습데이터 구축 |} ====4. 시스템 구조==== {| class="wikitable" !'''No''' !'''출제분야''' !'''세부출제내용''' |- |1 |공통 기술 | * IT 및 정보화 관련 표준, 국내외 표준화 동향 * 정보기술 아키텍처(EA) |- | rowspan="3" |2 | rowspan="3" |아키텍처 설계 및 구축 | * 컴퓨터 구조론: 디지털논리회로, 명령어, 주소, CPU/GPU, 파이프라이닝,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병렬처리 등 |- | * 하드웨어: 서버, 스토리지, NAS, 백업장치, UPS, 항온항습기 등 * 아키텍처 설계: n-tier, RAID, 이중화, 부하분산, 가상화, 최적화, 고가용성, 용량산정, 백업/복구 등 * 클라우드 기반 아키텍처, 전자정부공통기반, 서버리스 등 |- | * 공개SW(Open Source Software): 솔루션, 라이선스정책 등 * 성능시험, 이중화시험 |- | rowspan="3" |3 | rowspan="3" |데이터통신 및 네트워크 설계 | * 데이터 통신이론: 데이터 전송 방식 및 기술, OSI 참조 모델, 네트워크 프로토콜, IPv4/IPv6, LAN, WAN, 무선LAN, 인터네트워킹, 스토리지 전송 프로토콜, 네트워크관리 등 |- | * 네트워크 장비: 라우터, 스위치, 허브, 브리지, 백본 등 * 네트워크 설계: 주소, 네트워크 분할, 가상화, 이중화, 스위칭, 라우팅 프로토콜 등 |- | * 근거리 통신 기술: NFC, Zigbee, Beacon, Bluetooth 등 *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 Sigfox, LoRa, NB-IoT 등 * 기타 데이터통신 기술: Wi-Fi, HSDPA, WPAN, BcN, ADN, CDN, NFV, SDN 등 |- |4 |기타 신기술 | *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플랫폼, 사물인터넷(IoT), AI, VR/AR, 3D Printing, 드론, 스마트시티 등 |} ====5. 보안==== {| class="wikitable" !'''No''' !'''출제분야''' !'''세부출제내용''' |- |1 |공통 보안기술 | * 암호 알고리즘, 해쉬함수, 키 관리, 암호 프로토콜 등 암호시스템 * 전자서명, PKI, 생체인식 등 인증기술 * 접근권한, SSO, OTP 등 접근제어 기술 |- |2 |네트워크 및 시스템 보안 | * Firewall, IPS, VPN, ESM, NAC, 망분리, 무선보안 등 유무선 네트워크 보안 기술 * OS 보안, DB 보안, 서버 보안, 클라이언트 보안, PC 보안, 휴대용 단말 보안 등 시스템 보안 기술 * 네트워크/시스템 보안 공격, 해킹 및 침해사고 대응 기술 |- |3 |응용 및 신기술 보안 | * 웹 보안, 모바일 앱 보안, DRM, DLP, 전자거래 보안 등 응용 보안 기술 * 클라우드 보안, 빅데이터 보안, IoT 보안, 스마트워크 보안 등 최신 응용 보안 * 디지털 포렌식, 블록체인, AI 연계 등 보안 신기술 |- |4 |개발 및 운영 보안 | * 시큐어 코딩, SW 형상관리, 개발 환경 보안 등 개발 보안 기술 * SW 취약점 진단, 도구, 최신 공격 및 대응 기술 * 운영 통제, 외주 용역 등 운영 보안 기술 |- |5 |정보보호 법규 및 개인정보보호 | *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 표준, 지침, 평가/인증제도 * 거버넌스, 위험관리, 업무연속성 관리, 보안감사 등 보안관리 기술 * 암호화, 개인정보 비식별화 조치 등 기술적, 관리적 보호조치 |} '''출제시 법령, 고시, 표준 및 가이드 버전에 관한 기준''' *자격검정 시행공고일 이전에 공포된 법령(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고시(지침, 기준 등), 표준 및 발행된 가이드를 기준으로 출제 *제개정일과 시행일이 다른 경우, 개정일을 기준으로 출제 *다만, 세부출제내용 중 버전 또는 발행년도 등이 명확히 제시된 경우 해당 버전을 기준으로 출제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