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IT 위키
이 페이지에서 위키의 최근 바뀜을 추적합니다.
2025년 5월 1일 (목)
새글 12:53 | 유니온 파인드 차이역사 +2,432 AlanTuring 토론 기여 (새 문서: 유니온 파인드(Union-Find, 병합-찾기 자료구조)는 상호 배타적 집합(disjoint-set)들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조작하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개요== 유니온 파인드는 원소들이 어떤 집합에 속해 있는지를 빠르게 판별하고, 두 집합을 병합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데 최적화된 자료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상호 배타적 집합 자료구조(disjoint-set data structure)로 불리며, 대표적으로...) |
새글 12:13 | 에츠허르 다익스트라 차이역사 +2,419 AlanTuring 토론 기여 (새 문서: 에르허츠 다익스트라(Edsger Wybe Dijkstra, 荷兰语: Edsger Wybe Dijkstra)는 컴퓨터 과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네덜란드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생애== 에르허츠 다익스트라는 1930년 5월 11일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태어났다. 라이덴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했으며, 이후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수학과 컴퓨터 과학을 연구하였다. 1959년 네덜란드 에인트...) |
12:01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차이역사 +461 AlanTuring 토론 기여 |
새글 08:35 | 분류:Information Science 차이역사 +179 162.158.175.55 토론 (새 문서: Hi there! We’re interested in working with companies like yours for the long term. Could you send us your product list and prices? You can reach me on WhatsApp: +48 508 705 801) |
2025년 4월 30일 (수)
새글 23:18 | 곱셈 역원 차이역사 +2,342 AlanTuring 토론 기여 (새 문서: '''곱셈 역원'''(乘法逆元, multiplicative inverse)은 어떤 수에 대해 곱했을 때 1이 되는 수를 말한다. 주로 모듈로 연산(modular arithmetic)에서 사용되며, 나눗셈을 곱셈으로 바꾸기 위해 활용된다. ==개요== 정수 a에 대해 어떤 수 x가 존재해서 다음을 만족하면, x는 a의 곱셈 역원이다. a * x ≡ 1 (mod m) 여기서 ≡ 기호는 "동치(congruence)"를 의미하며, a * x를 m으로 나눈 나머지가 1...) |
2025년 4월 28일 (월)
|
08:57 | 방향 비순환 그래프 2개 바뀜 역사 +83 [AlanTuring (2×)] | |||
|
08:57 (최신 | 이전) +79 AlanTuring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 ||||
|
08:55 (최신 | 이전) +4 AlanTuring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
|
08:57 | (올리기 기록) [SOLO; AlanTuring (2×)] | |||
|
08:57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방향 비순환 그래프.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
|
02:56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방향 그래프.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
|
00:30 SOLO 토론 기여님이 파일:히스토그램 예시.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
새글 08:54 | 우선순위 큐 2개 바뀜 역사 +3,198 [AlanTuring (2×)] | |||
|
08:54 (최신 | 이전) +28 AlanTuring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
|
03:10 (최신 | 이전) +3,170 AlanTuring 토론 기여 (새 문서: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는 일반적인 큐와 달리, 삽입된 요소 중 우선순위(priority)가 가장 높은 요소를 먼저 꺼내는 자료 구조이다. 기본적인 큐의 선입선출(FIFO) 원칙을 따르지 않고, 우선순위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한다. ==개요== 우선순위 큐는 각 요소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데이터가 삽입된 순서와 무관하게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가 먼저 처리되도록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3:09 | 큐 (자료 구조) 차이역사 +3,253 AlanTuring 토론 기여 (새 문서: '''큐'''(queue)는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 자료 구조이다. 큐에서는 가장 먼저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된다. ==개요== 큐는 한쪽 끝에서는 데이터를 삽입(Enqueue)하고, 다른 한쪽 끝에서는 데이터를 삭제(Dequeue)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처럼 입출력 방향이 분리되어 있어, 데이터가 들어간 순서대로 처리되어야...) |
|
새글 01:09 | 파레토 법칙 2개 바뀜 역사 +34 [SOLO (2×)] | |||
|
01:09 (최신 | 이전) −2,302 SOLO 토론 기여 (파레토 원칙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
새글 |
|
00:23 (최신 | 이전) +2,336 SOLO 토론 기여 (새 문서: 파레토 법칙(Pareto Principle)은 전체 결과의 대부분이 소수의 원인에서 비롯된다는 경험적 법칙이다. 이 법칙은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가 제안하였다. ==내용== 파레토 법칙은 흔히 '''80/20 법칙'''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요약된다. *"전체 결과의 80%는 20%의 원인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기업의 매출의 80%가 상위 20%의 고객으...)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1:03 | PERT 차트 차이역사 +3,402 SOLO 토론 기여 (새 문서: '''PERT 차트'''(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Chart)는 프로젝트 관리 기법 중 하나로, 프로젝트의 작업(task)과 작업 간의 순서를 네트워크 형태로 시각화하여 일정 계획 및 관리를 돕는 도구이다. == 개요 == PERT 차트는 1950년대 후반 미국 해군의 폴라리스(POLARIS) 미사일 개발 프로젝트에서 개발되었다. 프로젝트의 작업(Task)들을 노드(node)와 화살표(arrow)로 표현하여, 각...) |
|
새글 00:51 | 히스토그램 2개 바뀜 역사 +2,442 [SOLO (2×)] | |||
|
00:51 (최신 | 이전) +85 SOLO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
|
00:28 (최신 | 이전) +2,357 SOLO 토론 기여 (새 문서: 히스토그램(histogram)은 연속형 데이터를 여러 구간(bin)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 속하는 데이터의 빈도수를 막대의 높이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데이터의 분포 형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 개요 == 히스토그램은 데이터 집합의 분포(모양)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데이터가 어느 값 주변에 몰려 있는지, 얼마나 퍼져 있는지, 왜곡(skewness)이나 이상치(outlier)...) |
|
새글 00:16 | ISO 14000 인증 2개 바뀜 역사 +2,192 [SOLO (2×)] | |||
|
00:16 (최신 | 이전) +28 SOLO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
|
00:16 (최신 | 이전) +2,164 SOLO 토론 기여 (새 문서: ISO 14000 인증은 국제표준화기구(ISO, 國際標準化機構)가 제정한 환경경영시스템(EM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관련 국제 규격 시리즈이다. ==개요== ISO 14000 시리즈는 조직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환경 관련 법규를 준수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되었다. 주요 내용은 환경방침 수립, 계획 수립, 실행 및 운영, 성...)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6일 (토)
새글 06:45 | 맨해튼 거리 차이역사 +43 AlanTuring 토론 기여 (맨해튼 거리 (수학) 문서로 넘겨주기) |
새글 06:44 | 유클리드 거리 차이역사 +2,410 AlanTuring 토론 기여 (새 문서: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 歐幾里得距離)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정의되는 두 점 사이의 최단 직선 거리를 의미한다. ==개요== 유클리드 거리는 고대 그리스 수학자 유클리드(Euclid)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는 가장 직관적인 거리 개념으로, 2차원이나 3차원 공간뿐만 아니라 n차원 공간에서도 일반화할 수 있다. 주로 물리적 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직접적인...) |
새글 06:42 | 맨해튼 거리 (수학) 차이역사 +1,835 AlanTuring 토론 기여 (새 문서: 맨해튼 거리(Manhattan distance, 曼哈頓距離)는 격자 기반 공간에서 두 점 간의 최단 경로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개요== 맨해튼 거리는 두 점 사이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하여 도달할 때의 총 이동 거리를 의미한다. 이름은 미국 뉴욕시의 맨해튼 지구의 격자형 도로망을 연상시켜 붙여졌다. 이 거리 척도는 특히 격자 기반 환경에서 경로 탐색, 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