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롤링 기반 입학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특징 및 장점 == === 빠른 발표 === 지원자의 역량이 충분한 경우, 합격 발표를 빠르게 받을 수 있다. === 빠른 판단 === 지원자의 역량이 부족한 경우엔 일찍 심사를 받는다고 해도 우선 합격자로 선정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합격 연락이 일찍 가지 않는다. 그렇다고 바로 탈락 통지를 하는 것은 아니고 보통은 후보자로 남겨두고 계속 다른 지원서를 받아보게 된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합격 발표가 계속 오지 않는다면 난 이 학교엔 합격 가능성이 낮겠구나라고 미리 짐작을 할 수 있다. 물론 학교에서 원하는 충분히 수준 높은 지원자가 많지 않다면 막판에 합격 결정을 할지도 모른다. 롤링 베이스가 아닌 다른 학교는 지원 마감일자까지 지원자를 모두 받은 후 심사를 시작하고 거의 한번에 발표를 하기 때문에 내가 이 학교에 합격이 될지 안될지 상당히 늦게 통보를 받는다. 보통 빠르면 2월 늦으면 4~5월에 통지를 받게 되는데 이 기다리는 기간이 정말 괴로울 수 있다. 롤링 베이스의 학교를 지원한 경우 어느정도 합격 소식이 들려오지 않는다면 빨리 다른 대안을 찾아서 추가 지원할 수라도 있는데 롤링 베이스가 아니면 그것도 불가능한 것이다. === 높은 합격률과 빠른 마감 === 이건 장점은 아니고 그냥 특징이다. 높은 합격률도 의미가 없는 것이, 지원서가 들어오는 족족 심사를 하고, 충분히 뽑혔다고 생각하면 바로 마감을 시켜버리기 때문에 정량적인 합격률은 높게 보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0명을 뽑는데, 400명이 지원한 상태에서 충분히 좋은 지원자들이 있어서 마감이 되었다면 합격률은 25%가 된다. 그런데 다른 학교들은 일단 마감일까지 1,000명이든 2,000명이든 지원서를 충분히 받고 심사를 하므로, 같은 학생을 뽑더라도 합격률은 5%~10% 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물론 후자가 더 많은 모수에서 선발을 한 것이기 때문에 더 우수한 학생들을 골라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뽑아 놓은 학생들의 수준은 결코 더 낮지 않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