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라이파이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분류:네트워크]] ;Light-Fidelity; Li-Fi; LiFi 발광 다이오드 따위의 적외선에서 근자외선까지 스펙트럼의 빛을 이용한 [[5세대 이동통신]] 기술 * 빛이 깜빡거리는 것으로 신호를 전달하지만, 초당 백만번 깜빡거리므로 사람은 인지 불가 * 불이 켜져있다는 인지가 어려울 정도의 낮은 광도로도 동작 가능 [[파일:라이파이 파장 및 활용 시나리오.png]] == 장점 == * 속도: [[와이파이]]의 100배, [[LTE]]의 66배 수준. * 주파수 여유: 주파수 범위가 기존 전파(300MHz~30GHz)와 중첩되지 않는 80THz~750THz<ref>1THz=1,000GHz</ref> * 가용성: 빛을 이용하는 통신이므로 물 속같이 전파가 통하지 않는 곳에서도 통신가능하며, 전파 혼신의 위험 때문에 일반적으로 통신을 할 수 없는 비행기에서도 통신 가능 == 단점 == * 단거리용: 빛이 보이는 범위 내에서 통신해야 하므로, [[WPAN]] 기술로 분류 * 장애물 영향: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사물이 있으면 통신이 불가능하다. 반사광이 발생하는 경우 제한적으로 가능 == 상용화 현황 == * MWC 2014 (Mobile World Congress 2014) 에서 고화질 영상 전송 시연 성공 * 프랑스 OLEDCOMM사, 영상이 아닌 실제 웹페이지 전송 시연 성공 * 중국의 상하이 푸단대학 치 낸 교수팀, 2013년 10월 150Mbps의 전송에 성공 * 같은 달 옥스퍼드∙케임브리지 등 영국 대학 연구팀, 이론상 최대 속도인 10Gbps에 근접하는 속도의 데이터 전송에 성공 * 일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지능교통시스템, 이를 전력선 통신과 융합하는 방안을 추진 중 * 한국,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삼성전자 등이 기술 개발 중 * 프랑스, 2014년 하반기 Li-Fi 기술의 사용과 목표, 응용 기술과 기술 연구 개발이 진행 중 * 한국, 2020 표준화 전략맵에 포함되어 TTA PG425 중심으로 표준화 준비중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