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처리시스템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분산 처리 시스템]]
==목적과 장단점==
* 여러 자원을 공유하고 속도 및 용량 등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이다.
* 자원 사용 관점에는 모든 면에서 장점을 가지지만
* 구축의 난이도나 비용적인 측면은 단점이다
 
==투명성==
'''투명성(Transparency)''' : 사용자가 분산된 여러 자원의 위치 정보를 알지 못하고 마치 하나의 커다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처럼 인식하도록 하는 것
* 위치 투명성 : 분산된 시스템이 어디 있는지는 알 필요 없다. 시스템적으로 알아서 통신해서 돌아가니깐
* 이주 투명성 : 내부적으로 데이터가 이동하는걸 사용자는 알 필요가 없다. 그냥 필요한걸 불러다 사용만 할 뿐
* 복제 투명성 : 내부적으로 데이터가 복제 되는걸 사용자는 알 필요가 없다. 그냥 필요한걸 불러다 사용만 할 뿐
* 병행 투명성 : 병행제어에 대해 딱히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시스템 알아서 한다. 그냥 사용만 할뿐..
* 접근 투명성 : 어디서든 어디로든 접속 가능하다. 어디에서 어디로 접속하려면 어떻게 할지 신경 쓸 필요 없다.
* 성능 투명성 : 여러 부하에 의해 알아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재구성이 이루어진다.
* 규모 투명성 : 규모에 대해선 신경쓸 필요가 없다. 늘리면 늘리는대로 성능이 좋아질 뿐.
* 고장 투명성 : 분산 처리니깐, 시스템 하나가 고장나도 작업은 완료할 수 있어야 한다.
 
==분산 처리 구조==
* '''완전 연결형 '''
** 각 사이트들이 시스템 내의 다른 모든 사이트들과 직접 연결됨
** 구축 비용은 많이 들지만 구축되고 나면 통신 비용은 적게들고 신뢰성이 높음
* '''부분 연결형'''
** 시스템 내의 일부 사이트들 간의 직접연결이 형성되는 경우
** 직접 연결되지 않은 사이트 끼리는 다른 사이트를 경유해서 통신해야 한다.
** 비용은 좀더 싸지만 신뢰성은 좀더 떨어진다.
* '''트리/계층형'''
** 분산 처리 시스템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로 사이트들 끼리 트리 형태로 연결 되어 있다.
** 부분 연결형 보다 기본 비용은 적게 들고 통신 비용은 트리의 깊이에 비례해서 올라감
** 하위 사이트들은 상위 사이트를 통해서 통신을 해야 한다. 즉, 상위가 죽으면 하위는 통신 불가
* '''스타(star)형'''
** 모든 사이트가 하나의 중앙 사이트에만 연결 된 구조
** 기본 비용은 사이트 수에 비례하며 통신 비용은 적게 든다
** 중상 사이트 고장나면 큰일난다
* '''링(Ring)형'''
** 시스템 내의 각 사이트가 인접하는 두 사이트와만 연결된 구조
** 정보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루어짐. 고리를 이룰수도 있고 선형일수도 있다.
** 기본 비용은 사이트 수에 비례하고 통신 비용은 비교적 크다
* '''다중 접근 버스 연결'''
** 시스템 내의 모든 사이트들이 공유 버스에 연결된 구조
** 기본 비용은 사이트에 비례하고 통신 비용은 저렴한 편이다.
** 스타형과 비슷하게 버스가 고장나면 큰일난다.
** 사이트의 추가나 삭제가 용이하다.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