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HTTP 429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HTTP 429 상태 코드는 "Too Many Requests"를 의미하며, 클라이언트가 일정 시간 동안 너무 많은 요청을 보내 서버가 이를 처리하지 않기 위해 응답하는 '''속도 제한(Rate Limiting) 관련 오류'''이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을 잠시 중단하고 이후에 다시 시도하라고 알린다. ==개념== *HTTP 429는 클라이언트가 서버가 허용한 요청 속도를 초과했을 때 발생 *과도한 API 요청, 폼 제출, 로그인 시도 등에서 서버 과부하나 남용 방지를 위해 사용 *클라이언트가 '''지정된 시간 이후에 재시도'''할 수 있도록 서버는 재시도 가능 시간을 응답 헤더에 명시할 수 있음 ==응답 예시== <pre> HTTP/1.1 429 Too Many Requests Retry-After: 60 Content-Type: text/plain You have sent too many requests. Please wait 60 seconds and try again. </pre> ==주요 헤더== *'''Retry-After'''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다시 시도할 수 있는 시간(초 단위 또는 날짜 형식) **예: Retry-After: 120 또는 Retry-After: Wed, 01 Jan 2025 12:00:00 GMT ==사용 사례== *API 서비스에서 사용자별 요청 제한 *로그인 시도 제한 (브루트포스 공격 방지) *스크레이핑 및 봇 활동 통제 *서비스 남용 방지 ==클라이언트 처리 방법== *응답 코드 429를 수신하면 재시도 로직을 구현해야 함 *Retry-After 헤더가 있을 경우 해당 시간만큼 대기 *없을 경우 지수 백오프(exponential backoff) 등으로 재시도 간격을 늘려야 함 ==관련 보안== *429는 [[DoS]](서비스 거부 공격) 완화 수단 중 하나로 활용 가능 *CAPTCHA, 사용자 인증, IP 차단 등과 함께 사용되어 방어력 강화 ==같이 보기== *[[HTTP 상태 코드]] *[[HTTP 403]] *[[DoS]] *[[Rate Limiting]] *[[Retry-After]] ==참고 문헌== *RFC 6585 – Additional HTTP Status Codes (429 정의 포함) *MDN Web Docs. HTTP 429 Too Many Requests.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Status/429 [[분류:인터넷]] [[분류:HTTP]] [[분류:오류 코드]]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