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디지털 서비스]][[분류:네트워크]][[분류:통신]]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
;각종 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


[[파일:사물인터넷 발전.png]]
[[파일:사물인터넷 발전.png]]


== IoT 보안 위협 ==
== IoT 보안 위협 ==
* 최소한의 프로세싱 성능과 메모리로 운영해야 하므로 보안 솔루션 탑재가 어려운 경우가 많음
* 관심과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보안 의식이 낮음
=== 보안 위협 예시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유형  !! 주요 제품 !! 주요 보안 위협 !! 보안 위협 원인
!  유형  !! 주요 제품 !! 주요 보안 위협 !! 보안 위협 원인
|-
|-
| 멀티미디어 || 스마트 TV,  
| 멀티미디어 || 스마트 TV, 스마트 냉장고 등 ||  
스마트 냉장고 등  
||  
* PC 환경에서의 모든 악용 행위
* PC 환경에서의 모든 악용 행위
* 카메라/마이크 내장 시 사생활 침해  
* 카메라/마이크 내장 시 사생활 침해  
26번째 줄: 18번째 줄:
* 물리적 보안 취약점
* 물리적 보안 취약점
|-
|-
| 생활가전 || 로봇 청소기,
| 생활가전 || 청소기, 인공지능 로봇 등 ||  
인공지능 로봇 등  
||  
* 알려진 운영체제 취약점 및 인터넷 기반 해킹 위협
* 알려진 운영체제 취약점 및 인터넷 기반 해킹 위협
* 로봇 청소기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한 사생활 침해
* 로봇 청소기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한 사생활 침해
36번째 줄: 26번째 줄:
* 물리적 보안 취약점
* 물리적 보안 취약점
|-
|-
| 네트워크 || 홈캠, 웹캠
| 네트워크 ||  
네트워크 카메라 등  
홈캠, 네트워크 카메라 등  
||  
||  
* 무선신호 교란, 정보유출, 데이터 위변조, 서비스 거부
* 무선신호 교란, 정보유출, 데이터 위변조, 서비스 거부
48번째 줄: 38번째 줄:
|rowspan="2"|
|rowspan="2"|
제어  
제어  
|| 디지털 도어락,  
||  
가스밸브 등  
디지털 도어락, 가스밸브 등  
||  
||  
제어기능 탈취로 도어락 임의 개폐
제어기능 탈취로 도어락 임의 개폐
59번째 줄: 49번째 줄:
|-
|-
|  
|  
모바일 앱(웹) 등  
모바일 앱(웹) 등 앱(웹)
||  
||  
소스코드 노출로 IoT 기능 탈취
* 소스코드 노출로 IoT 기능 탈취
||  
||  
* 인증정보 평문 저장
* 인증정보 평문 저장
69번째 줄: 59번째 줄:
센서  
센서  
||  
||  
온/습도 센서 등  
온/습도 센서 등 잘못된 또는 위변조된 온/습도 정보 전송
||  
||  
잘못된 또는 위변조된 온/습도 정보 전송
||
* 전송 데이터 보호 부재
* 전송 데이터 보호 부재
* 데이터 무결성 부재
* 데이터 무결성 부재
* 물리적 보안 취약점
* 물리적 보안 취약점
|}<ref>한국인터넷진흥원, 홈·가전 IoT 보안가이드, 2017. 7.</ref>
|}
 
=== 보안 7대 원칙 ===
{| class="wikitable"
|-
! 원칙 !! 내용
|-
| 설계 보안 || 정보보호와 프라이버시 강화를 고려한 IoT 제품/서비스 설계
- “Security by Design” 및 “Privacy by Design” 기본 원칙 준수
|-
| 개발 보안 || 안전한 SW, HW 개발 기술 적용 및 검증
- 시큐어 코딩,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보안성 검증 및 시큐어 하드웨어 장치 활용
|-
| 초기 설정 보안 || 안전한 초기 보안 설정 방안 제공
- “Secure by Default” 기본 원칙 준수
|-
| 프로토콜 보안 || 보안 프로토콜 준수 및 안전한 파라미터 설정
- 통신 및 플랫폼에서 검증된 보안 프로토콜 사용(암호/인증/인가 기술)
|-
| 보안 패치 || IoT 제품/서비스의 취약점 보안 패치 및 업데이트 지속 이행
- S/W와 H/W의 보안 취약점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업데이트 지속 수행
|-
| 프라이버시 보호 || 안전한 운영/관리를 위한 정보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 체계 마련
- 사용자 정보 취득-사용-폐기의 전주기 정보의 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
|-
| 대응체계 마련 || IoT 침해 사고 대응체계 및 책임 추적성 확보 방안 마련
- 보안 사고에 대비한 침입탐지와 사고 시 분석 및 책임 추적성 화보
|}<ref>미래창조과학부, “사물인터넷(IOT) 정보보호 로드맵”, 2014.</ref>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원본 주소 "https://itwiki.kr/w/I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