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s Encrypt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Let's Encrypt]]
[[분류:인터넷]][[분류:보안]]
;비영리 인터넷 보안 연구 그룹(ISRG)에서 제공하는 무료, 자동 및 개방형 [[인증 기관]]
* [[SSL/TLS]]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무료로 인증서를 제공하는 인증 기관
* 소규모 웹사이트까지 [[HTTPS]]가 적용되도록 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음
 
== 특징 ==
* '''무료''': 제한적으로 무료 서비스를 제공<ref>AWS의 인증서의 경우, 인증서는 무료이지만 인증서 적용을 위해 R3서비스나 로드밸런서를 사용해야 하므로 조건부 무료라고 할 수 있다.</ref>하는 것이 아니라 와일드 카드를 포함하여 전체 인증서 및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됨
* '''개방형''': 특정 서비스에 종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ref>AWS의 인증서의 경우, 인증서 자체는 무료이지만 자체 보유 서버나 다른 호스팅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버엔 적용할 수 없다.</ref> 개인 서버부터 호스팅 서버까지 모든 서버에 자유롭게 적용 가능
* '''편의성''': 기존 인증 기관이 인증서 파일만 제공하는데 반해 인증서를 손쉽게 적용하고 갱신할 수 있는 도구<ref>[https://tools.ietf.org/html/rfc8555 RFC 8885] 표준인 [[ACME]] 프토로콜 사용</ref> 제공
 
== 인증서 적용 방법 ==
=== 쉘 엑세스 권한이 있는 경우 ===
* 인증서 설치, 갱신 자동화는 지원하는 [[ACME]] 기반의 [[Certbot]]을 이용
 
=== 쉘 엑세스 권한이 없는 경우 ===
* 호스트 공급자가 Let’s Encrypt를 기반으로 한 자동·무료 인증서 도구를 지원하는 경우<ref>해외의 상당히 많은 호스팅 공급자가 이를 지원하고 있으며 https://community.letsencrypt.org/t/web-hosting-who-support-lets-encrypt/6920 에서 확인 가능하다.</ref> 이를 사용(권장됨)
* 호스트 공급자가 인증서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면 이를 이용해 인증서 파일 업로드(자동 갱신X)
 
== 참고 문헌 ==
* [https://letsencrypt.org/ko/ Let’s Encrypt 공식 사이트]
* [https://certbot.eff.org/ Certbot 공식 사이트]
 
== 각주 ==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