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restore: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새 문서: ;dump 된 파일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복구한다. == 주요 옵션 == ;restore * -r : 전체 복원시에 사용한다. * -f : 백업파일명을 지정한다. * -i : 대...) |
편집 요약 없음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ump 된 파일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복구한다. | ;dump 된 파일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복구한다. | ||
* 리눅스에서만 지원 | |||
* 경로 : /sbin/restore | |||
== 사용법 == | |||
<pre class='shell'> | |||
# restore [옵션] [백업파일] | |||
</pre> | |||
== 주요 옵션 == | == 주요 옵션 == |
2021년 10월 17일 (일) 14:20 기준 최신판
- dump 된 파일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복구한다.
- 리눅스에서만 지원
- 경로 : /sbin/restore
사용법[편집 | 원본 편집]
# restore [옵션] [백업파일]
주요 옵션[편집 | 원본 편집]
- restore
- -r : 전체 복원시에 사용한다.
- -f : 백업파일명을 지정한다.
- -i : 대화식으로 파일을 선택하여 복원을 진행한다.
- -0 : 전체 백업할 때 사용한다. 부분백업은 1~9
- -f : 백업될 파일을 지정한다.
- -u : dump작업 후에 /etc/dumpdates라는 파일에 정보를 기록한다.
예제[편집 | 원본 편집]
파일시스템 전체 백업
# dump -0 -f fulldata.dump /dev/sdc5
파일시스템 전체 복원
# restore -rf fulldata.du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