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P: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분류:네트워크]][[분류:정보처리기사]][[분류:프로토콜]] | [[분류:네트워크]] | ||
[[분류:정보처리기사]] | |||
[[분류:프로토콜]] | |||
;User Datagram Protocol | ;User Datagram Protocol | ||
"No frills", "Bare bones" -> “best effort” | 네트워크 송수신 시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일방적으로 데이터그램을 전송하는 통신 방식으로, TCP/IP 프로토콜의 4계층(전송계층)에서 동작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 | ||
* RFC-768 | |||
* "No frills", "Bare bones" -> “best effort” | |||
== 특징 == | |||
*최소한의 필요한 기능만 수행(IP에 포트 지정 기능) | |||
*비연결형으로, 단순히 데이터를 던짐 | |||
**오류는 검출하지만 복구나 재전송이 없음 | |||
**흐름 제어는 수행하지 않음 | |||
*구조가 단순한 만큼 속도가 빠름 | |||
== 오류 제어 == | |||
헤더에 Checksum을 포함하여 단순 오류 검출 | |||
'''Pseudo Header''' | |||
* 12바이트의 Pseudo Header 추가로 인해 IP 헤더의 오류 탐지 | |||
* Pseudo Header는 전송되지 않음 | |||
* Checksum 계산의 보조를 위해 사용 | |||
== 서비스 사례 == | |||
{| class="wikitable" | |||
!구분 | |||
!서비스 | |||
!설명 | |||
|- | |||
| rowspan="2" |'''프로토콜''' | |||
|'''[[QUIC]]''' | |||
| | |||
* Quick UDP Internet Connection | |||
* [[HTTP 3|HTTP 3.0]]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
|- | |||
|'''[[SCTP]]''' | |||
| | |||
*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 |||
* UDP의 스트리밍 특성, TCP의 연결형 및 신뢰성 제공 특성을 조합한 프로토콜 | |||
|- | |||
| rowspan="2" |'''서비스''' | |||
|'''[[DNS]]''' | |||
| | |||
* 낮은 오버헤드 기반의 빠른 처리 | |||
|- | |||
|'''[[VoIP]]''' | |||
| | |||
* 실시간 음성정보 전송 서비스 | |||
|- | |||
| rowspan="2" |'''환경''' | |||
|Streaming | |||
| | |||
* 미디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가능 | |||
|- | |||
|Multicast | |||
| | |||
* 여러 수신자에게 동일한 데이터 전송 | |||
|} | |||
== 기타 == | |||
* PDU: 세그먼트(Segment) | *PDU (Protocol Data Unit): 세그먼트(Segment) | ||
* 헤더(고정 8 Byte): 발신자 포트(2 Byte), 수신자 포트(2 Byte), Total length(2 Byte), Checksum(2 Byte) | *헤더(고정 8 Byte): 발신자 포트(2 Byte), 수신자 포트(2 Byte), Total length(2 Byte), Checksum(2 Byte) | ||
* 데이터필드: 최대 65507 바이트(65535 - 20 IP헤더 - 8 UDP 헤더) | *데이터필드: 최대 65507 바이트(65535 - 20 IP헤더 - 8 UDP 헤더) |
2022년 4월 8일 (금) 14:06 기준 최신판
- User Datagram Protocol
네트워크 송수신 시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일방적으로 데이터그램을 전송하는 통신 방식으로, TCP/IP 프로토콜의 4계층(전송계층)에서 동작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
- RFC-768
- "No frills", "Bare bones" -> “best effort”
1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최소한의 필요한 기능만 수행(IP에 포트 지정 기능)
- 비연결형으로, 단순히 데이터를 던짐
- 오류는 검출하지만 복구나 재전송이 없음
- 흐름 제어는 수행하지 않음
- 구조가 단순한 만큼 속도가 빠름
2 오류 제어[편집 | 원본 편집]
헤더에 Checksum을 포함하여 단순 오류 검출
Pseudo Header
- 12바이트의 Pseudo Header 추가로 인해 IP 헤더의 오류 탐지
- Pseudo Header는 전송되지 않음
- Checksum 계산의 보조를 위해 사용
3 서비스 사례[편집 | 원본 편집]
4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PDU (Protocol Data Unit): 세그먼트(Segment)
- 헤더(고정 8 Byte): 발신자 포트(2 Byte), 수신자 포트(2 Byte), Total length(2 Byte), Checksum(2 Byte)
- 데이터필드: 최대 65507 바이트(65535 - 20 IP헤더 - 8 UDP 헤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