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2X: 두 판 사이의 차이

IT위키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디지털 서비스]]
[[분류:디지털 서비스]][[분류:기술사 기출]]
;Celluar Vehicle-to-Everything
;Celluar Vehicle-to-Everything
;엘티이(LTE), 5G와 같은 셀룰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교통 인프라, 보행자, 네트워크 등과 정보를 서로 주고받는 [[V2X]] 기술
;[[LTE]], [[5G]]와 같은 셀룰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교통 인프라, 보행자, 네트워크 등과 정보를 서로 주고받는 [[V2X]] 기술
*  3GPP에서 2017년 LTE 기술을 활용한 Celluar V2X를 표준으로 채택(3GPP Release 14)
*  3GPP에서 2017년 LTE 기술을 활용한 Cellular V2X를 표준으로 채택(3GPP Release 14)


== 특징 ==
== 특징 ==
* 기존 WAVE와 DSRC보다 서비스 영역이 넓고 데이터 전송 속도 빠름
* 기존 WAVE와 DSRC보다 서비스 영역이 넓고 데이터 전송 속도 빠름
== DSRC와의 비교 ==
{| class="wikitable"
! 구분
! WAVE/DSRC
! LTE-V2X
! 5G-V2X
|-
| 개요
| WiFI 기반
| colspan="2" | 이동통신(LTE, 5G) 기반
|-
| 표준화
| IEEE 802.11p
| colspan="2" | 3GPP Release 14, 15
|-
| 장점
| 기술 표준화 완료
안정성 입증
| colspan="2" | 커버리지, 전송속도, 지연 등 성능 우수
|-
| 단점
| 주요 성능 미흡
| colspan="2" | 표준화 진행 중, 상용화 준비 미흡
(표준화 2020년 1분기 완료 예상)
|-
| 주파수
| 5.9GHz
| colspan="2" | 5.9GHz 및 상용 주파수
|-
| 애플리케이션
| V2V, V2I
| colspan="2" | V2V, V2I, V2P, V2N
|-
| 전송속도
| ~27Mbps
| ~100Mbps
| 20Gbps
|-
| 지연시간
| 100ms
| 100ms
| 10ms
|-
| 이동성
| 200km/h에서 동작
| 160km/h에서 동작
| 500km/s에서 동작
|-
| 커버리지
| 200~300m
| 수 km
| 수 km
|-
| 상용화
| 일본, 미국, 유럽
| colspan="2" | 중국에서 추진 중, 국내 시범사업 중
|}
== 논란 및 현황 ==
* (LTE/5G 필요성) V2X에 굳이 5G의 고성능이 필요한가?
* (표준화 시기) C-V2X는 지금 바로 적용하기엔 검증이 더 필요
* (중복 투자 우려) WAVE 기술 및 인프라 사장
* (글로벌 표준) 유럽은 DSRC 선택, 중국은 C-V2X 선택, 미국은 미확정
== 기술사 기출 ==
* 정보관리기술사 121회 1교시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 [http://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word_seq=168092-9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 [http://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word_seq=168092-9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2021년 5월 27일 (목) 15:27 기준 최신판

Celluar Vehicle-to-Everything
LTE, 5G와 같은 셀룰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교통 인프라, 보행자, 네트워크 등과 정보를 서로 주고받는 V2X 기술
  • 3GPP에서 2017년 LTE 기술을 활용한 Cellular V2X를 표준으로 채택(3GPP Release 14)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기존 WAVE와 DSRC보다 서비스 영역이 넓고 데이터 전송 속도 빠름

DSRC와의 비교[편집 | 원본 편집]

구분 WAVE/DSRC LTE-V2X 5G-V2X
개요 WiFI 기반 이동통신(LTE, 5G) 기반
표준화 IEEE 802.11p 3GPP Release 14, 15
장점 기술 표준화 완료

안정성 입증

커버리지, 전송속도, 지연 등 성능 우수
단점 주요 성능 미흡 표준화 진행 중, 상용화 준비 미흡

(표준화 2020년 1분기 완료 예상)

주파수 5.9GHz 5.9GHz 및 상용 주파수
애플리케이션 V2V, V2I V2V, V2I, V2P, V2N
전송속도 ~27Mbps ~100Mbps 20Gbps
지연시간 100ms 100ms 10ms
이동성 200km/h에서 동작 160km/h에서 동작 500km/s에서 동작
커버리지 200~300m 수 km 수 km
상용화 일본, 미국, 유럽 중국에서 추진 중, 국내 시범사업 중

논란 및 현황[편집 | 원본 편집]

  • (LTE/5G 필요성) V2X에 굳이 5G의 고성능이 필요한가?
  • (표준화 시기) C-V2X는 지금 바로 적용하기엔 검증이 더 필요
  • (중복 투자 우려) WAVE 기술 및 인프라 사장
  • (글로벌 표준) 유럽은 DSRC 선택, 중국은 C-V2X 선택, 미국은 미확정

기술사 기출[편집 | 원본 편집]

  • 정보관리기술사 121회 1교시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