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밍: 두 판 사이의 차이

IT위키
(새 문서: ; Private Data + Farming의 합성어로 호스트(hosts)파일 변조 등을 통해 가짜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여 이이디/비밀번호,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Private Data + Farming의 합성어로 호스트(hosts)파일 변조 등을 통해 가짜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여 이이디/비밀번호,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을 탈취하는 행위를 말한다.
[[분류:보안]][[분류:보안 공격]][[분류:정보보안기사]]
; Private Data + Farming의 합성어로 호스트(hosts)파일 변조 등을 통해 가짜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여 개인정보 등을 탈취하는 사기 수법을 말한다.
 
* 정상적인 사이트 주소를 입력해도 가짜 사이트로 이동하거나 정상적인 사이트로 이동하면서 가짜 팝업이 뜨게 한다.
* 가짜 사이트 또는 가짜 팝업을 통해 아이디/비밀번호,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을 입력하면 공격자의 서버로 보내지게 된다.


== 공격 기법 ==
== 공격 기법 ==
5번째 줄: 9번째 줄:
* DNS 스푸핑
* DNS 스푸핑
* PAC(Proxy Auto-config)
* PAC(Proxy Auto-config)
== 유사 항목 ==
* [[피싱]]
* [[스미싱]]

2019년 6월 14일 (금) 23:16 기준 최신판

Private Data + Farming의 합성어로 호스트(hosts)파일 변조 등을 통해 가짜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여 개인정보 등을 탈취하는 사기 수법을 말한다.
  • 정상적인 사이트 주소를 입력해도 가짜 사이트로 이동하거나 정상적인 사이트로 이동하면서 가짜 팝업이 뜨게 한다.
  • 가짜 사이트 또는 가짜 팝업을 통해 아이디/비밀번호,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을 입력하면 공격자의 서버로 보내지게 된다.

공격 기법[편집 | 원본 편집]

유사 항목[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