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aS: 두 판 사이의 차이

IT위키
(새 문서: 분류:디지털 서비스 ;Mobility as a Service 카카오 택시, 공유 자전거, 카셰어링, 타다와 같은 O2O 교통 서비스 == 기대효과 == * 교통난, 주차...)
 
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 결제  
* 결제  
* 빅데이터 분석
* 빅데이터 분석
== MaaS 통합 수준 ==
{| class="wikitable"
! 단계
! 분류명
! 내용
|-
| 4
| 정책의 통합
(Integration of Policy)
| 도시 계획과 인프라, 정책과의 통합
|-
| 3
| 서비스제공의 통합
(Integration of the service offer)
| MaaS 오퍼레이터가 이동 수단까지 제공
|-
| 2
| 예약, 결제의 통합
(Integration of Booking & Payment)
| 일원화된 정보 하에 교통수단에 대한 예약, 발권, 결제를 일괄적으로 해결
|-
| 1
| 정보의 통합(Integration of Information)
| 여러 교통수단의 요금, 경로등의 정보를 일원화하여 제공
|}

2020년 1월 16일 (목) 00:18 판

Mobility as a Service

카카오 택시, 공유 자전거, 카셰어링, 타다와 같은 O2O 교통 서비스

기대효과

  • 교통난, 주차난 해결
  • 환경 공해 감소
  • 이동성 향상

기반 기술

  • LBS
  • 결제
  • 빅데이터 분석

MaaS 통합 수준

단계 분류명 내용
4 정책의 통합

(Integration of Policy)

도시 계획과 인프라, 정책과의 통합
3 서비스제공의 통합

(Integration of the service offer)

MaaS 오퍼레이터가 이동 수단까지 제공
2 예약, 결제의 통합

(Integration of Booking & Payment)

일원화된 정보 하에 교통수단에 대한 예약, 발권, 결제를 일괄적으로 해결
1 정보의 통합(Integration of Information) 여러 교통수단의 요금, 경로등의 정보를 일원화하여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