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 맵

IT 위키

마인드 맵(mind map)은 중심 주제에서 관련 아이디어를 가지처럼 확장하여 시각적으로 정리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생각의 흐름과 연관성을 구조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1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마인드 맵은 영국의 심리학자 토니 부잔(Tony Buzan)이 1970년대에 대중화한 기법으로, 중심 아이디어를 기준으로 관련된 생각, 키워드, 개념들을 방사형으로 확장해 나간다. 아이디어 간의 연관성을 자연스럽게 드러낼 수 있어 브레인스토밍, 기획, 학습, 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2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주제를 중심에 두고, 관련 아이디어를 연결하여 방사형으로 확장한다.
  • 키워드, 그림, 기호, 색상 등을 활용하여 직관적으로 표현한다.
  • 정보의 계층 구조와 연결 관계를 동시에 시각화할 수 있다.
  • 창의적인 사고를 촉진하고 기억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3 구성 요소[편집 | 원본 편집]

  • 중심 주제(Central Topic)
    • 마인드 맵의 중앙에 위치한 핵심 주제 또는 문제.
  • 주 가지(Main Branch)
    • 중심 주제에서 직접 뻗어 나오는 주요 아이디어나 범주.
  • 부 가지(Sub-Branch)
    • 주요 가지에서 세분화된 세부 아이디어나 키워드.
  • 키워드 및 아이콘(Keyword and Icon)
    • 아이디어를 간결하게 표현하고, 이미지나 색상을 활용하여 시각적 인식을 높인다.

4 작성 방법[편집 | 원본 편집]

  1. 중심 주제 또는 문제를 중앙에 배치한다.
  2. 중심 주제에서 주요 아이디어를 주 가지(main branch) 형태로 연결한다.
  3. 각 주 가지에서 세부 가지(sub-branch)를 뻗어나가며 구체적인 키워드를 추가한다.
  4. 키워드, 그림, 색상, 기호 등을 자유롭게 사용하여 의미를 강화하고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5. 전체 흐름과 관계를 검토하고 필요한 수정 및 확장을 한다.

5 활용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브레인스토밍
  • 회의 아이디어 정리
  • 프로젝트 기획 및 계획 수립
  • 학습 정리 및 시험 준비
  • 문제 해결 및 의사결정 지원

6 마인드 맵과 다른 도구의 차이[편집 | 원본 편집]

  • 마인드 맵: 방사형 구조, 자유로운 확장, 시각적 표현 강조
  • 개념도(Concept Map):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고, 연결어를 사용하여 개념 간 관계를 논리적으로 설명
  • WBS (작업 분류 구조): 프로젝트 작업을 계층적으로 구조화하는 데 초점

7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8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Buzan, T. (1993). The Mind Map Book: How to Use Radiant Thinking to Maximize Your Brain's Untapped Potential. BBC Books.
  • Buzan, T., & Buzan, B. (1996). The Mind Map Book: Unlock your creativity, boost your memory, change your life. BBC A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