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스포티파이 애자일 모델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적용 시 고려 사항== Spotify 모델을 조직에 도입하거나 참고할 때에는 다음 사항들을 살펴보는 것이 좋다: *조직의 현재 규모(size), 문화(culture), 리더십 스타일(leadership style), 기술 스택(technology stack), 제품 라인(product lines) 등을 고려하여, 모든 요소를 처음부터 다 도입하기보다는 파일럿(pilot) 팀 등을 통해 실험(experiment)해 보는 것이 바람직함. *자율성(autonomy)을 줄 때와 경계(boundary)를 설정할 때 책임(accountability) 및 의사소통(communication) 메커니즘을 명확히 해야 함. *의존성 관리(dependencies) 및 기술 아키텍처(architecture)의 일관성 유지(consistency)를 위한 역할(role) 또는 조직 내 기능(function)의 협업(collaboration) 및 조율(coordination) 구조를 마련해야 함. *지속적인 학습(continuous learning), 피드백(feedback), 회고(retrospective) 문화가 잘 유지되어야 함. *스쿼드/Tribe/Chapter/Guild 외의 추가 구조(trios, alliances 등)가 필요해질 수 있고, 변화(evolution)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함.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