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IT 위키

이 페이지에서 위키의 최근 바뀜을 추적합니다.

최근 바뀜 설정 최근 1 | 3 | 7 | 14 | 30일간의 50 | 100 | 250 | 500개 바뀐 문서 보기
등록된 사용자 숨기기 | 익명 사용자를 숨기기 | 내 편집 숨기기 | 보이기 | 사소한 편집 숨기기
2025년 4월 19일 (토) 10:43부터 시작하는 새로 바뀐 문서 보기
   
약어 목록:
새글
새 문서 (새 문서 목록도 보세요)
잔글
사소한 편집
봇이 수행한 편집
(±123)
바이트 수로 표현한 문서 크기의 차이

2025년 4월 18일 (금)

새글    12:21  기하 분포 차이역사 +2,598 AlanTuring 토론 기여 (새 문서: 기하분포(幾何分布, geometric distribution)는 확률론과 통계학에서 성공 확률이 일정한 베르누이 시행을 독립적으로 반복할 때, 최초의 성공이 나타나기까지 시행한 횟수를 확률 변수로 하는 이산 확률 분포이다. ==정의== 기하분포는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된다. *형식 1 (시행 횟수 기준): 최초의 성공이 나오는 시행의 번호를 확률 변수로 하는 경우 *형식 2 (실패 횟수 기...)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4월 17일 (목)

     09:45 차단 기록 Itwiki 토론 기여님이 118.219.12.168 토론님을 무기한 차단했습니다 (계정 만들기 금지됨) ‎
     09:45 삭제 기록 Itwiki 토론 기여님이 맛주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외쳐~ 갓주일~ You suck my dick bro~". 유일한 편집자는 "118.219.12.168" (토론))
새글    01:58  분류:Information Science 차이역사 +207 185.198.240.197 토론 (새 문서: We are currently seeking companies like yours for a potential long-term partnership. Could you kindly share your product offerings along with pricing details? Please contact me on WhatsApp: +44 7404 788 963)
새글    00:03  독립 변수 차이역사 +2,774 이재명 토론 기여 (새 문서: 독립 변수(Independent variable, 獨立變數)는 통계학 및 실험 설계에서 종속 변수에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 간주되는 변수이다. 실험에서 독립 변수는 조작되거나 구분되어 설정되며, 그 결과로 종속 변수의 변화가 관찰된다. ==정의== 독립 변수는 일반적으로 실험자가 직접 조작하거나, 자연적으로 구분되는 집단에 따라 결정되는 변수이다. 독립 변수의 변화는 종속 변수...)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4월 16일 (수)

새글    23:52  기초 수지 차이역사 +2,390 이재명 토론 기여 (새 문서: 기초 수지(基礎收支, Basic Balance)는 국제 수지표에서 자본수지와 경상수지를 합산하여 나타내는 지표로, 한 국가의 대외 거래에서의 지속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개요== 기초 수지는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단기적 금융 변동성을 제외한 보다 구조적인 국제 수지의 균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이다. 이는 외환위기 가능성 평가나...)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9:52  아파치 스파크 Structured Streaming 차이역사 +2,941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 (새 문서: 아파치 스파크 Structured Streaming은 아파치 스파크에서 제공하는 고수준 스트리밍 처리 엔진으로, 스트리밍 데이터를 '''배치 처리처럼 선언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설계된 API'''이다. DStream 기반의 기존 스트리밍 모델보다 간단하고 강력하며, DataFrame, Dataset API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개념== *Structured Streaming은 스트리밍을 마치 정적인 테이블처럼 처리하는 '''c...)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42  아파치 스파크 DStream Stateful Streaming 차이역사 +2,307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 (새 문서: DStream 기반의 Stateful Streaming은 '''과거 배치의 처리 결과 또는 상태(state)를 현재 배치 처리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Stateless Streaming과 달리, 데이터 간의 시간적 연관성이나 누적 계산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세션 추적, 누적 카운트, 상태 기반 경고 등에 적합하다. ==개념== *상태란 키(key)별로 유지되는 누적 값, 카운트, 집계 정보 등을 의미 *배치 간에 상태가...)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41  아파치 스파크 DStream Stateless Streaming 차이역사 +2,163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 (새 문서: DStream 기반의 Stateless Streaming은 각 마이크로 배치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전 상태와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각 배치 단위의 RDD는 다른 배치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누적 상태(state)를 유지하지 않는다.''' ==개념== *Stateless란 '''이전 입력 데이터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고''' 매 배치마다 새로 계산하는 방식 *모든 계산은 '''현재 배치...)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41  아파치 스파크 DStream transform 차이역사 +2,292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 (새 문서: DStream의 transform 연산은 각 배치 간격마다 생성되는 RDD에 대해 '''직접적인 RDD 연산을 적용'''할 수 있게 해주는 고급 연산이다. DStream API의 고수준 추상화(map, reduceByKey 등)로는 처리할 수 없는 복잡한 연산이나 외부 RDD와의 연산을 가능하게 한다. ==개념== *transform 연산은 DStream 내부의 RDD를 직접 받아서 처리할 수 있는 유일한 API다 *즉, 각 배치 시점마다 다음과 같은...)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30  RDD 차이역사 +41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 (아파치 스파크 RDD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새글    08:30  아파치 스파크 DStream 차이역사 +3,683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 (새 문서: 아파치 스파크 DStream(Discretized Stream)은 아파치 스파크 스트리밍에서 사용하는 '''기본 스트리밍 데이터 추상화'''로, '''연속적인 RDD들의 시퀀스'''로 구성된다.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일정 시간 간격의 마이크로 배치로 나누어 처리하며, RDD 기반의 내결함성과 분산 처리 특성을 그대로 유지한다. ==개념== *DStream은 스트리밍 데이터를 정해진 간격으로 잘라서...)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23  아파치 스파크 스트리밍 차이역사 +3,445 빅데이터분석기사 토론 기여 (새 문서: 아파치 스파크 스트리밍(Apache Spark Streaming)은 아파치 스파크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 처리 기능'''이다. 대규모 실시간 데이터를 마이크로 배치(micro-batch) 단위로 처리하며, 고속 데이터 처리와 확장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개념== *스트리밍 데이터를 '''작은 배치 단위로 분할'''하여 처리 *실시간 데이터 수집 → 변환 → 분석 → 저장의 전 과정 지...) 태그: 시각 편집
     00:30  해시‎‎ 2개 바뀜 역사 +2,697 [AlanTuring‎ (2×)]
     
00:30 (최신 | 이전) +57 AlanTuring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00:30 (최신 | 이전) +2,640 AlanTuring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0:09  해싱 차이역사 +24 AlanTuring 토론 기여 (해시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25년 4월 15일 (화)

     16:01  ISMS-P 인증 기준 3.3.3.영업의 양도 등에 따른 개인정보 이전 차이역사 0 162.158.90.209 토론 (양수-> 양도) 태그: 시각 편집
새글    12:23  맥스 힙‎‎ 2개 바뀜 역사 +2,222 [AlanTuring‎ (2×)]
     
12:23 (최신 | 이전) +43 AlanTuring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12:23 (최신 | 이전) +2,179 AlanTuring 토론 기여 (새 문서: 맥스 힙(Max Heap)은 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의 한 형태로, 모든 부모 노드의 값이 그 자식 노드들의 값보다 '''크거나 같은''' 구조를 갖는 힙 자료구조이다.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 구현이나 정렬 알고리즘(힙 정렬) 등에 사용된다. == 개념 == * 완전 이진 트리 형태 유지 * 각 노드의 값 ≥ 자식 노드의 값 * '''루트 노드에는 항상 최댓값이 위치''' == 특징 == *...)
새글    10:53  트립 (이진 탐색 트리) 차이역사 +5,440 AlanTuring 토론 기여 (새 문서: 트립 이진 탐색 트리(Treap Binary Search Tree)는 이진 탐색 트리(BST)의 정렬 규칙과 힙(Heap)의 우선순위 규칙을 동시에 만족하는 확률적 자료구조이다. 삽입 시 각 노드에 난수 형태의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별도의 재균형 알고리즘 없이도 평균적으로 균형 잡힌 트리를 구성할 수 있다. ==개요== 트립(Treap)은 '''Tree'''와 '''Heap'''의 합성어로, 각 노드가 다음 두 가지 속성...)
     10:53  트립 이진 탐색 트리 차이역사 −5,393 AlanTuring 토론 기여 (트립 (이진 탐색 트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새글    10:35  무작위 이진 탐색 트리‎‎ 2개 바뀜 역사 +3,015 [AlanTuring‎ (2×)]
     
10:35 (최신 | 이전) +55 AlanTuring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10:32 (최신 | 이전) +2,960 AlanTuring 토론 기여 (새 문서: 무작위 BST(randomized binary search tree)는 명시적인 균형 조건 없이 무작위성을 활용하여 평균적으로 균형 잡힌 이진 탐색 트리를 구성하는 자료구조이다. Treap 외에도 다양한 구조가 있으며, 이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무작위성을 도입하여 O(log n) 평균 시간복잡도를 유지한다. ==주요 종류== *Treaps **노드에 무작위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힙 + BST 구조 유지 **삽입, 삭제 연...)
     10:32  무작위 BST 차이역사 −2,912 AlanTuring 토론 기여 (무작위 이진 탐색 트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새글    08:34  경제적 주문량‎‎ 2개 바뀜 역사 +2,925 [이재용‎ (2×)]
     
08:34 (최신 | 이전) +94 이재용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13 (최신 | 이전) +2,831 이재용 토론 기여 (새 문서: 경제적 주문량(Economic Order Quantity, EOQ)은 총 재고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주문량의 최적 크기'''를 계산하는 재고 관리 기법이다. 주문 비용과 보관 비용 간의 균형점을 찾아, 연간 재고 운영비용을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개념== *주문량이 적으면 자주 주문해야 하므로 '''주문 비용 증가''' *주문량이 많으면 보유 재고가 커져 '''보관 비용 증가''' *EOQ는 이 둘...) 태그: 시각 편집
     08:34  (올리기 기록) [이재용‎ (2×)]
     
08:34 이재용 토론 기여님이 파일:경제적 주문 비용 그래프.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08:22 이재용 토론 기여님이 파일:재주문 시점 재고 그래프.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새글    08:29  JIT 차이역사 +38 이재용 토론 기여 (저스트 인 타임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새글    08:29  EOQ 차이역사 +37 이재용 토론 기여 (경제적 주문량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새글    08:22  재주문 시점‎‎ 2개 바뀜 역사 +2,190 [이재용‎ (2×)]
     
08:22 (최신 | 이전) +21 이재용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22 (최신 | 이전) +2,169 이재용 토론 기여 (새 문서: 재주문 시점(Reorder Point, ROP)은 재고 수준이 일정 기준 이하로 떨어졌을 때 '''새로운 주문을 발주해야 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재고가 소진되기 전에 보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설정된 기준점으로, 재고 부족(품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다. ==개념== *리드타임(발주부터 입고까지 걸리는 시간) 동안 소비될 수량을 기준으로 설정 *수요가 일...)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7:59  재고 비용 차이역사 +2,237 이재용 토론 기여 (새 문서: 재고 비용(Inventory Cost)은 기업이 재고를 보유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비용'''을 의미한다. 재고 수준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비용을 명확히 파악하고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분류== 재고 비용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 또는 네 가지로 구분된다: ===1. 주문 비용 (Ordering Cost)=== *재고를 보충하기 위해 주문할 때...)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7:40  ABC 분석 차이역사 +2,397 이재용 토론 기여 (새 문서: ABC 분석은 재고 항목이나 고객, 제품 등을 '''중요도나 기여도에 따라 A, B, C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파레토 법칙(80/20 법칙)을 기반으로 하며, 관리 자원을 핵심 항목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된다. ==개념== *A 항목: 전체 가치의 약 70~80%를 차지하는 상위 10~20%의 항목 *B 항목: 전체 가치의 약 15~25%를 차지하는 중간 30~...)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7:14  재고 관리 차이역사 +2,402 이재용 토론 기여 (새 문서: 재고 관리는 기업이 보유한 원자재, 반제품, 완제품 등의 재고를 '''적절한 수준에서 유지하며, 수요에 맞게 공급을 조절하는 활동'''이다. 과잉 재고나 재고 부족을 방지하고, 생산과 판매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개념== *재고(inventory): 판매를 위해 보유 중인 모든 물품 **원자재, 부품, 반제품, 완제품 등이 포함됨 *재고 관리는...)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0:15  연판장 돌리기 차이역사 +1,986 권영세 토론 기여 (새 문서: 연판장 돌리기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여러 사람의 '''동의, 서명, 또는 지지'''를 받기 위해 문서를 순서대로 돌리는 행위를 말한다. 주로 정치적, 사회적 요구나 항의, 청원, 후원, 응원 등의 표현 수단으로 사용되며, 종이 문서 또는 온라인 서명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개념== *하나의 문서를 사람들이 차례로 읽고, 자신의 이름, 소속, 서명 등을 남기는 방식 *문자...)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4월 14일 (월)

2025년 4월 12일 (토)

새글    13:15  샤프 비율 차이역사 +2,229 이재명 토론 기여 (새 문서: 샤프 비율(Sharpe Ratio)은 투자 자산의 성과를 위험 대비 수익의 관점에서 평가하는 지표로, '''추가적인 위험을 감수함으로써 얻은 초과 수익률을 변동성으로 나눈 값'''이다. 금융 자산, 포트폴리오, 펀드 성과 비교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개념== *윌리엄 샤프(William F. Sharpe)에 의해 제안됨 *위험 조정 수익률(risk-adjusted return)을 평가 *수익률이 높더라도 변동성이 크면...) 태그: 시각 편집
새글    12:02  무역 가중 달러 인덱스 차이역사 +2,497 이재명 토론 기여 (새 문서: 무역 가중 달러 인덱스(Trade-Weighted U.S. Dollar Index)는 미국 달러의 가치를 '''미국과 교역량이 많은 여러 국가의 통화에 대해 가중 평균하여 측정한 지표'''이다. 달러 인덱스(DXY)가 6개 주요 통화에만 기반하는 반면, 이 지수는 실제 무역 비중을 반영하므로 '''보다 현실적인 달러의 강도'''를 보여준다. ==개념== *미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가 발표하는 공식 지표 *...) 태그: 시각 편집
새글    12:02  달러 인덱스 차이역사 +2,507 이재명 토론 기여 (새 문서: 달러 인덱스(U.S. Dollar Index, DXY)는 미국 달러의 가치를 '''주요 6개 통화 바스켓에 대해 상대적으로 측정한 지표'''이다. 달러가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강세인지 약세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대표적인 벤치마크로, 외환 트레이딩, 거시경제 분석, 금리 정책 판단 등에 활용된다. ==개념== *달러 인덱스는 미국 달러(USD)가 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 태그: 시각 편집
새글    11:49  이자율 평형 차이역사 +2,414 이재명 토론 기여 (새 문서: 이자율 평형(Interest Rate Parity, IRP)은 두 국가 간의 통화 가치와 이자율의 관계를 설명하는 국제금융 이론으로, '''무위험 차익 거래(arbitrage)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환율과 금리가 결정되는 균형 조건'''이다. 외환시장과 채권시장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며, 현물환율과 선물환율, 금리 사이의 수학적 관계를 제시한다. ==개념== *이자율 평형은 외환시장에서 자본이 자유롭...) 태그: 시각 편집
새글    11:43  수익률 곡선 차이역사 +2,682 이재명 토론 기여 (새 문서: 수익률 곡선(yield curve)은 동일한 신용 등급을 가진 채권의 '''만기별 이자율(수익률)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곡선'''이다. 일반적으로는 국채(특히 무위험 채권)를 기준으로 작성되며, 금리 만기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구이다. 섬네일|수익률 곡선 예시 ==개념== *x축: 채권의 '''만기(Maturity)''' *y축: 해당 만기 채권의 '''수익...) 태그: 시각 편집
새글    11:41  금리 만기 구조 차이역사 +2,685 이재명 토론 기여 (새 문서: 금리 만기 구조(term structure of interest rates)는 동일한 신용 등급을 가진 채권의 '''만기에 따른 금리의 변화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만기가 길수록 금리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조가 관측된다. ==개념== 섬네일|형태 유형별 수익률 곡선 *만기 구조는 특정 시점에서 다양한 '''만기(leng...) 태그: 시각 편집
     11:41 올리기 기록 이재명 토론 기여님이 파일:수익률 곡선 예제.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11:39 사용자 만들기 기록 이재명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