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ISMS-P 인증심사원 주요 암기사항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주요 기술적 암기사항 == 사실 기술 관련 문제는 정해진 범위는 없으나 대략 보안산업기사 필기 수준의 문제 범위는 모두 포함된다고 봐야 한다. 보안기사나 보안산업기사 책을 훑어 보거나, 만약 취득하지 않았다면 같이 공부해서 취득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안전한 [[암호화 알고리즘]]''' {| class="wikitable" !구분 !안전한 알고리즘 !안전하지 않은 알고리즘 |-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SEED]], [[ARIA|ARIA-128/192/256]], [[AES|AES-128/192/256]], [[HIGHT]], [[LEA]] 등 |[[DES]], [[RC4]] |-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RSAES-OAEP, RSAES-PKCS1 등 |(키 길이 기준)<ref>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개키 알고리즘 중 알고리즘 자체가 취약하다고 평가된 경우는 없으나 키 길이가 2048 미만일 경우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본다.</ref> |- |일방향 암호 알고리즘 |[[SHA|SHA-256/384/512]] 등 |[[SHA-1]], [[HAS-160]], [[MD5]] |} '''[[대칭키 암호화]]와 [[공개키 암호화]]''' '''[[해시]]''' * 역상 암호화 * 제2역상 암호화 '''[[전자서명]]''' '''[[전자 봉투]]''' [[공개키 기반 구조|'''공개키 기반 구조(PKI)''']], '''[[X.509]]''' '''[[리눅스 유저 로그]]''' *[[리눅스 wtmp|wtmp]], [[리눅스 lastlog|lastlog]] 등은 필수적으로 알아둘 것 '''[[리눅스 권한]]''' *777, 644 등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고 있어야 한다. '''[[리눅스 shadow]]''' *'''콜론(:)이 구분자로 사용되며, 총 9개의 필드로 이루어져 있다.''' *① : $②$③$④ : ④ : ⑤ : ⑥ : ⑦ : ⑧ : ⑨ **① 사용자명(ID) **② 패스워드 암호화 정보 *** 첫 번째 $ : 암호화 알고리즘 **** 1: [[MD5]] **** 2: [[Blowfish]] **** 5: [[SHA|SHA256]] **** 6: [[SHA-512|SHA512]] *** 두 번째 $ : salt 값 *** 세 번쨰 $ : 비밀번호 hash 값 **** 암호화된 패스워드 앞에 ! 가 있으면 잠긴 상태이다. ** ③ 패스워드 최종 수정일 (1970-01-01로부터의 일수) ** ④ 패스워드 최소 유지기간 ** ⑤ 패스워드 최대 유지기간 ** ⑥ 패스워드 만료 경고 기간 ** ⑦ 계정 잠김으로 부터 남은 일수 ** ⑧ 계정 만료 일자(비어있으면 만료 없음) ** ⑨ 예약 필드(사용하지 않음) *'''[[가상 사설망]]''' *'''[[IPSec]]''' **AH: 무결성, 인증 (암호화X) **ESP: AH+암호화 **전송모드: 헤더 제외, 페이로드 보호 **터널모드: 전체 보호 *[[서비스 거부 공격|'''서비스 거부 공격''']] **'''Ping Of Death:''' Attack IP 단편화(fragment)를 재조 합 부하 유발 **'''Land Attack:'''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패킷(자기 자신을 반복적으로 공격) **'''Smurf Attack:''' 출발지를 공격 대상 IP로 위조한 ICMP 패킷 브로드캐스트(응답 부하 유발) **'''Teardrop Attack:''' 분할된 IP 단편의 offset값을 서로 중첩되도록 조작하여 에러와 부하 유발 **'''SYN Flooding:''' 다량의 TCP SYN 패킷을 전송 **'''UDP Flooding:''' 다량의 UDP 패킷을 전송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특징 : DoS 공격에 사용되는 패킷의 공통된 특징은 '''조작된 시작 주소''' **공격의 종류 **'''(DNS Reflection Attack''') 공격자가 피해자의 IP로 위장(스푸핑)하여 네임서버에 비정상 DNS 질의를 요청하고 요청을 받은 네임서버는 DNS 응답값을 위장한 IP로 전송하여 공격대상의 회선대역폭 고갈 → 출발지 포트가 53/UDP이면서 목적지 주소가 DNS서버가 아닌 UDP 패킷 차단 설정 **'''(NTP Reflection Attack)''' 스푸핑된 IP(피해자의 IP)로 NTP 서버에게 비정상적인 요청 패킷을 보내서 되돌아오는 응답값을 공격 payload로 활용하는 공격 → 출발 포트가 123/UDP인 패킷 차단 설정 **'''(Memcached Reflection Attack)''' memcached 서버의 기능을 악용하여 저장된 캐싱 데이터를 가능한 많이 요청하는 request 명령을 요청하고 스푸핑된 피해자의 IP로 대규모 응답이 가게 만드는 공격기법 →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11211번을 출발지 port로 사용하는 패킷 차단 설정, memcached 서버 외부 노출 차단 **'''(ARMS Reflection Attack)''' 피해자의 IP로 출발지 IP를 변조한 후 취약한 Apple Mac 컴퓨터를 대상으로 원격접속 요청을 보내고, 돌아오는 응답 패킷을 피해자 시스템으로 보내는 공격기법이다. →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3283번을 출발지 Port로 사용하는 패킷 차단 설정 *'''[[스니핑]]''' *'''비식별 조치 모델 - 통계적 보호 모델''' **[[K-익명성|'''K-익명성''']]: 전체 데이터셋에 동일 값 레코드 k개 이상 존재하도록 하는 비식별 모델 ***연결 공격(linkage attack) 방지 **[[L-다양성|'''L-다양성''']]: 주어진 데이터 집합에서 함께 비식별되는 레코드들은 (동질 집합에서) 적어도 ℓ개의 서로 다른 민감한 정보를 가져야 하는 성질 ***동질성 공격 및 배경지식에 의한 공격을 방어 **'''[[T-근접성]]''': 동질 집합에서 특정 정보의 분포와 전체 데이터 집합에서 정보의 분포가 t이하의 차이를 보이도록 하는 성질 ***쏠림 공격, 유사성 공격 방지 *'''백업 방식''' **'''일반 백업(전체 백업, Full Backup)''' ***모든 데이터를 백업, Archive Bit를 재설정 **'''증분 백업(Incremental Backup)''' ***수정된 데이터만 백업, Archive Bit를 재설정 **자동화 백업(CDP) : 이미지 방식의 백업으로 분단위까지 백업을 받고 필요시 특정 백업시점으로 복원할 수 있음 **합성 백업 : 기존의 전체 백업본과 여러개의 증분 백업분을 하나로 통합하는 백업 **'''차등 백업(Differential Backup)''' ***기존 백업 이후 수정된 데이터를 백업. Archive Bit 재설정 없이 누적 백업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