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12 팩터 앱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12가지 원칙== *'''1. 코드베이스(Codebase)'''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하나의 코드베이스를 버전관리 시스템(Git 등)으로 관리하고, 여러 환경(개발·테스트·운영)에 배포될 수 있어야 한다. *'''2. 의존성(Dependencies)''' **시스템에 기본 탑재된 패키지에 의존하지 않고, 모든 의존성을 명시적으로 선언하고 분리해야 한다. *'''3. 설정(Config)''' **실행 환경마다 다른 설정 값은 코드에 하드코딩하지 말고 환경 변수 등 외부 설정으로 분리해야 한다. *'''4. 부가 서비스(Backing Services)''' **데이터베이스, 메시지 큐, 캐시 등은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근되는 외부 리소스로 간주해야 한다. *'''5. 빌드, 릴리스, 실행(Build, Release, Run)''' **애플리케이션의 빌드, 릴리스, 실행 단계를 명확히 분리하여 관리해야 한다. *'''6. 프로세스(Processes)''' **애플리케이션은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stateless) 독립적인 프로세스로 실행되어야 한다. *'''7. 포트 바인딩(Port Binding)''' **내장 웹 서버 등을 사용하여 포트를 바인딩하고 외부와의 통신을 직접 처리해야 한다. *'''8. 동시성(Concurrency)''' **프로세스를 유형별로 나누고 독립적으로 수평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9. 폐기성(Disposability)''' **빠른 시작과 안전한 종료가 가능해야 하며, 시스템은 유연하게 장애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10. 개발과 운영 환경의 일치(Dev/Prod Parity)''' **개발, 스테이징, 운영 환경 간 차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11. 로그(Logs)''' **로그는 이벤트 스트림으로 표준 출력에 기록하고, 실행 환경에서 이를 수집·분석해야 한다. *'''12. 관리자 프로세스(Admin Processes)'''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유지보수 스크립트 등은 일회성 관리 명령으로 실행하되, 앱과 동일한 환경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