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리눅스 tar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예제 == *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bbs 디렉터리를 bbs.tar로 묶기 ** 꼭 f를 옵션의 마지막 순서로 넣어야 한다. -cfz라고 하면 Cannot stat: No such file or directory 라는 에러가 날 것이다. f 바로 뒤에 목적 파일 경로를 넣어줘야 에러가 안 난다. <pre> tar -cvf bbs.tar bbs </pre> *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bbs 디렉터리를 bbs.tar.gz로 압축하기 ** 확장자로 tar.gz를 붙이는 것은 압축을 풀 때 이 파일이 어떻게 압축이 된 것인지 알 수 있게 해주기 위함 <pre> tar -cvzf bbs.tar.gz bbs </pre> * 단순 묶음 해제하기 ** 현재 디렉터리에 그대로 풀리게 됨 <pre> tar -xvf bbs.tar </pre> * 경로를 지정하여 묶음 해제하기 ** 묶을 때와 달리 -C 옵션이 필요 ** 디렉터리를 생성해서 풀어주진 않으므로 원래 있는 디렉터리를 지정하거나 [[리눅스 mkdir|mkdir]]로 디렉터리 생성 필요 <pre> tar -xvf bbs.tar -C bbs2 </pre> * 압축 해제하기 ** z옵션을 주어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은 풀 때도 단순히 z옵션을 추가하면 됨 <pre> tar -xzvf bbs.tar </pre>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