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주요 구성 요소 및 설계 원칙== ===무상태 인프라 & 가변 리소스=== *인스턴스, 컨테이너, 함수(function) 등은 상태를 최소화하고, 상태가 필요하면 외부 저장소로 분리한다. *리소스는 고정되지 않고, 필요 시 쉽게 교체 가능해야 한다(Immutable infrastructure) ===자동화 및 선언적 정의=== *[[코드형 인프라|인프라 코드화(IaC)]], 선언적 API, 자동화 도구로 인프라를 관리한다. *수작업은 최소화하고, 인프라 생성·배포·변경·삭제 과정을 코드 파이프라인으로 포함시킨다. ===컨테이너 및 오케스트레이션===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가 일반적이며,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예: Kubernetes) 위에서 운영된다. ===서비스 메시, 마이크로서비스 및 느슨한 결합===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지원하며, 서비스 간 통신을 관리하는 서비스 메시(service mesh) 등의 기술이 포함된다. ===관찰성 및 복원력=== *로그, 메트릭, 트레이스가 통합되어 실시간으로 시스템을 관찰하고 문제를 신속히 진단할 수 있어야 한다.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 재시작, 대체 인프라로 전환되는 설계가 있어야 한다(self‑healing)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유연성===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넘나드는 배포 가능성이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IaaS, PaaS, SaaS)과 API 기반 자원을 적극 활용한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