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통계적 가설 검정 p-값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계산 예시 == === 부품의 평균 길이 (검정 실패) === 어떤 회사가 생산하는 부품의 평균 길이가 10cm인지 검정하려고 한다. 표본 9개를 측정했더니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나왔다: * 8.9, 9.7, 10.2, 10.5, 9.8, 10.1, 9.6, 10.3, 10.0 가설 설정 * 귀무가설: H<sub>0</sub>: μ = 10 * 대립가설: H<sub>1</sub>: μ ≠ 10 (양측 검정) '''계산 결과''' * 표본 평균 x̄ = 9.9 * 표본 표준편차 s ≈ 0.25 * 표본 크기 n = 9 '''검정통계량:''' * t = (x̄ - μ) / (s / √n) = (9.9 - 10) / (0.25 / √9) ≈ -1.2 자유도 df = n - 1 = 8일 때, t분포표를 참고하거나 계산기를 사용하면: * p값 ≈ 0.26 (양측 검정이므로, t = -1.2에 해당하는 양쪽 면적의 합) 이 p값은 일반적인 유의수준 0.05보다 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즉, "표본 평균이 9.9였지만 이는 우연히 발생할 수 있는 수준이며, 평균이 10이라는 주장에 반박할 근거는 충분하지 않다"고 해석된다. === 코로나 치료약 (검정 성공) === 어떤 제약회사가 코로나 치료약을 개발했으며, 이 약이 회복 기간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정하고자 한다. '''임상시험 결과:''' * 신약을 복용한 집단(n = 10): 회복일수 = 9, 10, 8, 9, 7, 11, 10, 8, 9, 10 * 기존 치료를 받은 집단(기준 평균 회복일수): μ = 11 '''가설 설정''' * 귀무가설: H<sub>0</sub>: 신약은 기존 치료와 회복일수에 차이가 없다 (μ = 11) * 대립가설: H<sub>1</sub>: 신약은 회복일수를 줄인다 (μ < 11) → 단측 검정(one-tailed test) '''계산 결과''' * 표본 평균 x̄ = 9.1 * 표본 표준편차 s ≈ 1.1 * 표본 크기 n = 10 '''검정통계량:''' * t = (x̄ - μ) / (s / √n) = (9.1 - 11) / (1.1 / √10) ≈ -5.45 자유도 df = 9일 때, t = -5.45는 매우 극단적인 값이다. * t분포표나 계산기를 통해 구한 p값 ≈ 0.0003 이 값은 일반적인 유의수준 0.05보다 훨씬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강하게 기각할 수 있다. 즉 신약이 기존 치료보다 회복일수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