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레이 (분산 컴퓨팅)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아키텍처== [[파일:레이 아키텍처.png|섬네일|레이 아키텍처]] Ray 클러스터는 '''헤드 노드(head node)'''와 하나 이상의 '''워커 노드(worker node)'''로 구성된다. ===헤드 노드=== 헤드 노드는 클러스터 전체를 관리하며, 워커 노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더해 아래의 두 가지 주요 컴포넌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Global control store (GCS)''': 클러스터 전역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 요소로, 객체 테이블, 태스크 테이블, 함수 테이블, 이벤트 로그 등을 포함한다. 이 정보는 웹 UI, 디버깅, 프로파일링 등에 활용된다. *'''Autoscaler''': 워크로드에 따라 워커 노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제거하여 자원 낭비를 줄이고 성능을 최적화한다. 헤드 노드는 기본적으로 '''단일 장애 지점(single point of failure)'''으로, 장애 발생 시 클러스터 전체가 소실되며 재생성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기존 워커 노드는 '''고아 노드(orphaned node)'''가 되어 수동으로 제거해야 할 수 있다.<ref>Ray 2.0부터는 외부 고가용성 Redis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Kubernetes 위에 배포할 경우 GCS 장애 허용 기능을 지원한다.</ref> === 워커 노드=== 각 워커 노드는 '''Raylet'''이라는 핵심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이는 다음 두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Object store''': 분산 캐시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클러스터 내 모든 object store는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캐시를 구성한다. *'''Scheduler''': 각 노드는 로컬 스케줄러를 통해 작업을 수행하며, 다른 노드와 통신하여 전역 분산 스케줄러로 기능한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