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지속적 연결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장점 === * '''TCP 연결 설정 및 종료 비용 절감''': 비지속적 연결에서는 각 리소스 요청마다 TCP 연결 설정(3-way handshake)과 종료(4-way handshake)가 필요했으나, 지속적 연결은 한 번의 연결로 여러 요청을 처리할 수 있어 이러한 오버헤드를 줄인다. * '''지연 시간(Latency) 감소''': 각 리소스마다 새로운 연결을 설정하지 않기 때문에, 초기 설정 시간 없이 연속적으로 리소스를 요청할 수 있어 전체 지연 시간이 줄어든다. * '''네트워크 혼잡 감소''': 매번 새로운 연결을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줄어들고, 이는 네트워크 혼잡을 완화하는 데 기여한다. * '''TCP 슬로우 스타트 문제 완화''': 새로운 연결마다 TCP 슬로우 스타트가 발생하지만, 지속적 연결은 한 번 설정된 연결을 유지하므로 슬로우 스타트로 인한 성능 저하가 줄어든다. * '''서버 및 클라이언트 자원 효율성''':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연결을 여러 번 설정하지 않기 때문에, 처리해야 할 연결 수가 줄어들고 자원 사용이 효율적이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