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평균 제곱근 오차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실제 활용 방법 == RMSE는 '''절대적인 수치로는 그 의미가 제한적'''이므로, 단독으로 해석하기보다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활용된다. * '''모델 간 비교''' ** 동일한 테스트 데이터셋에 대해 여러 회귀 모델을 평가하고, RMSE 값이 가장 작은 모델을 선택한다. ** 예: 선형 회귀 vs 랜덤 포레스트 회귀 vs XGBoost 회귀 등 * '''베이스라인 대비 성능 평가''' ** 평균값을 예측하는 단순 모델의 RMSE와 비교하여, 학습된 모델이 얼마나 성능이 개선되었는지 판단한다. * '''비율 지표와 함께 사용''' ** MAE, MAPE, R² 등 다른 지표와 함께 해석하여 오차의 절대값과 상대적 분산 설명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 '''특정 도메인의 기준값과 비교''' ** 도메인 지식이 있는 경우, 해당 산업이나 데이터셋 특성에 따라 '허용 가능한 오차 수준'과 비교한다. ** 예: RMSE가 5인 경우, 부동산 가격 예측에서는 허용되지만, 체온 예측에서는 과도한 오차일 수 있음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