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항등 함수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인공지능 및 딥러닝에서의 활용== 항등 함수는 비록 변화나 특징(feature)을 학습하는 데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활성 함수(activation function)로 많이 쓰이진 않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출력층(Output layer)에서 회귀(regression) 문제를 다룰 때, 활성 함수 없이 단순히 항등 함수를 사용해서 예측 값이 실수 전체 범위에 걸치도록 한다. *잔차 연결(skip connection) 또는 잔차 블록(residual block)에서 입력을 그대로 더해주는(identity mapping)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그래디언트(gradient)가 네트워크 깊이 깊어질 때 소실(vanishing)되지 않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ResNet에서는 어떤 층(layer)의 출력과 입력을 더할 때 항등 매핑(identity mapping)이 핵심 구조이다. *초기화(initialization) 또는 정규화(normalization) 스킵(normal skip)과 같은 아키텍처 설계에서 항등 변환을 기준점(baseline)으로 하여 변화량(shift 또는 residual)을 학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오토인코더(autoencoder) 등에서 인코더(encoder)와 디코더(decoder)가 거의 “무엇도 하지 않는” 항등 함수에 가까운 초기 상태로 시작하고, 데이터 구조를 재구성하면서 항등 매핑(identity mapping)을 벗어나는 학습을 하게 된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