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위상 변조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위상 변조의 활용 == 위성 통신, 디지털 텔레비전, 무선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Wi-Fi, Bluetooth, 4G LTE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위상 변조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Wi-Fi, Bluetooth, 4G LTE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위상 변조 방식은 각각의 기술적 요구사항과 응용에 따라 다르게 선택된다. 아래는 각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위상 변조 방식이다. '''Wi-Fi''' * Wi-Fi는 주로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사용하며, 이 과정에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와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같은 위상 변조 방식이 활용된다. ** '''QPSK''': 2비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인다. 신호가 서로 직교하므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 '''16-QAM''': 4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상뿐만 아니라 진폭도 조절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한다. Wi-Fi의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Bluetooth''' * Bluetooth는 주로 '''GFSK (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을 사용하지만, '''π/4-DQPSK'''와 같은 위상 변조 방식도 지원한다. ** '''GFSK''': 주파수 변조의 한 형태로, Gaussian 필터를 사용해 대역폭을 줄이고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킨다. ** '''π/4-DQPSK''':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위상 변조 방식으로, 두 개의 비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더 빠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4G LTE''' * 4G LTE는 주로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와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며, 이 과정에서 '''QPSK''', '''16-QAM''', '''64-QAM'''과 같은 여러 위상 변조 방식을 지원한다. ** '''QPSK''': 저신호 대 잡음비 환경에서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 '''16-QAM 및 64-QAM''':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며, 각각 4비트와 6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LTE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실현한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