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신경망 양자화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극단적 양자화 === 양자화의 비트 수를 극단적으로 줄이면 '''Binary''' 또는 '''Ternary''' 형태의 모델이 된다. 이들은 모두 곱셈 연산이 필요 없는 신경망으로, ''multiplication-free DNN'' 구조라고도 불린다. '''Binary Quantization (이진 양자화)''' * 표현 가능한 값: {-1, +1} * 모든 가중치와 활성값이 1비트 부호만으로 표현됨 * 부호 연산(sign)만으로 곱셈 대체 가능 → 매우 빠른 추론 속도 * 모델 크기 약 1/32 수준으로 압축 가능 * 다만, 정밀도 손실이 커서 복잡한 모델에는 부적합 '''Ternary Quantization (삼진 양자화)''' * 표현 가능한 값: {-1, 0, +1} * 0이 포함되어 일부 가중치를 완전히 비활성화 가능 (희소성 확보) * Binary보다 정확도는 향상되지만 여전히 근사 표현에 의존 * 곱셈 대신 단순 부호 비교 및 0 판별만 수행 {| class="wikitable" ! 구분 !! 표현값 !! 비트 수 !! 장점 !! 단점 !! 주요 특징 |- | Binary || {-1, +1} || 1bit || 곱셈 제거, 초고속 || 정확도 낮음 || 완전 부호 기반 연산 |- | Ternary || {-1, 0, +1} || 2bit || 희소성, 약간의 정확도 향상 || 여전히 근사치 큼 || 일부 weight=0 가능 |} 이러한 극단적 양자화는 일반적인 LLM보다는 경량 비전 모델, 임베디드 기기, 또는 저전력 환경에서의 실험용 신경망에 주로 사용된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