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ShuffleNet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ShuffleNet V2 개선점=== ShuffleNet V2는 실제 장치에서의 속도, 메모리 접근 효율, 병렬 처리 성능 등을 고려하여 설계 지침(Guidelines)을 제시하였다. *G1: 입력 채널과 출력 채널의 크기가 같을 때 MAC이 최소화된다. *G2: 그룹 컨볼루션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MAC이 증가할 수 있다. *G3: 네트워크가 너무 조각(fragmented)되면 병렬 효율이 떨어진다. *G4: 요소별 연산(element-wise operation)의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ShuffleNet V2 유닛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따른다. *채널 스플릿(channel split): 입력 채널을 두 갈래(branch)로 나눈다. *한 브랜치는 연산을 거치고, 다른 브랜치는 아이덴티티(identity)로 유지된다. *연산 브랜치: 1×1 컨볼루션 → 3×3 depthwise 컨볼루션 → 1×1 컨볼루션 *두 브랜치를 합친 뒤 채널 셔플 연산 수행.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