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합성곱 신경망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주요 모델 == '''[[LeNet]]''' * LeNet은 1990년대 초반에 제안된 최초의 합성곱 신경망(CNN) 중 하나로, 손글씨 숫자 인식(MNIS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합성곱(convolution)과 풀링(pooling) 계층을 번갈아 쌓은 뒤 완전연결층을 사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현대 CNN의 기본적인 형태를 제시하였다. * 당시에는 계산 자원이 제한되어 있었지만, LeNet은 딥러닝 기반 이미지 인식의 가능성을 처음으로 입증한 모델로 평가된다. '''[[VGG]]''' *VGG는 매우 작은 3×3 필터를 여러 번 연속으로 쌓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깊이가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단순하고 일관된 설계 덕분에 이후 많은 네트워크의 기반이 되었으며, ImageNet에서 약 75~76%의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깊은 구조를 가지지만 규칙적인 형태로 인해 구현과 해석이 용이하며, 이후 모델들의 비교 기준으로 자주 사용된다. '''[[ResNet]]''' *네트워크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정확도가 떨어지는 퇴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잔차 연결(residual link)을 도입하였다. *입력을 출력에 직접 더하는 shortcut 구조를 통해 학습 안정성을 높이고, 매우 깊은 네트워크에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한다. * 기본 블록과 병목 블록으로 구성되며, ResNet-18, 50, 101 등 다양한 깊이의 변형 모델이 존재한다. '''[[MobileNet]]''' *모바일 및 임베디드 기기용으로 설계된 경량 CNN 구조이다. *표준 합성곱을 깊이별 합성곱(depthwise separable convolution)으로 대체하여 계산량과 파라미터 수를 크게 줄였다. *MobileNetV2에서는 잔차 구조와 선형 병목(linear bottleneck)을 도입하여 효율성과 성능을 동시에 개선하였다. '''[[ShuffleNet]]''' *그룹 합성곱(group convolution)을 사용해 연산량을 줄이면서도 채널 간 정보 교환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널 셔플(channel shuffle) 연산을 추가하였다. *모바일 환경에서도 정확도를 유지하며 효율적인 추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MobileNet과 유사한 수준의 계산 복잡도에서 더 높은 성능을 보인다. '''[[SqueezeNet]]''' * AlexNet 수준의 정확도를 50배 적은 파라미터로 달성한 초경량 네트워크이다. *3×3 필터를 1×1 필터로 대체하고, 입력 채널 수를 줄이는 “fire module” 구조를 사용한다. *모델 크기가 작아 임베디드 시스템이나 IoT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DenseNet]]''' *각 층의 출력을 모든 이후 층과 직접 연결(dense connection)하여 정보 손실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연결 방식은 특징 재사용(feature reuse)을 촉진하고, 경사 소실(vanishing gradient) 문제를 완화한다. *파라미터 효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가중치로도 높은 성능을 달성한다. '''[[EfficientNet]]'''*네트워크의 깊이(depth), 너비(width), 해상도(resolution)를 균형 있게 확장(compound scaling)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모델 확장을 제안하였다. *동일한 정확도를 더 적은 연산으로 달성하며, 연산 효율이 매우 높다. *SiLU(Swish) 활성함수를 사용하고, 정규화 및 구조적 최적화를 통해 최신 비전 모델들과 경쟁하는 성능을 보인다. '''[[ConvNeXt]]''' *비전 트랜스포머(Swin Transformer)의 아이디어를 CNN 구조에 도입한 현대적 합성곱 신경망이다. *대형 커널, GELU 활성함수, Layer Normalization 등 최신 설계를 적용하여 ResNet을 대체할 수준의 성능을 달성하였다. *단순한 CNN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트랜스포머 수준의 정확도를 보여준다. '''[[ShiftNet]]''' *공간 합성곱 연산을 완전히 제거하고, 채널별로 픽셀을 단순 이동(shift)시키는 방식으로 공간 정보를 반영한다. *연산량(MAC)과 파라미터가 거의 0에 가까운 초경량 구조로, 메모리 대역폭이 제한된 환경에서 효율적이다. * 계산 비용 없이 합성곱의 효과를 근사화하여 빠른 추론을 지원한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