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비식별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개인정보보호]][[분류:데이터베이스]][[분류:데이터 과학]][[분류:보안]]
[[분류:개인정보보호]][[분류:데이터베이스]][[분류:데이터 분석]][[분류:보안]]
;개인정보에 대해 통계적으로 식별자를 제거하여 정보 주체를 알아볼 수 없도록 익명화하는 과정
;개인정보에 대해 통계적으로 식별자를 제거하여 정보 주체를 알아볼 수 없도록 익명화하는 과정


6번째 줄: 6번째 줄:


== 기법 ==
== 기법 ==
=== 비식별 처리 기법 ===
* 가명 처리
* [[가명 처리]]
* 총계 처리
* [[총계 처리]]
* 데이터 삭제
* [[데이터 삭제]]
* 데이터 범주화
* [[데이터 범주화]]
* 데이터 마스킹
* [[데이터 마스킹]]


=== 비식별 암호 기술 ===
== 평가 지표 ==
==== 동형 암호 ====
{| class="wikitable"
|-
! 지표 !! 의미 !! 적용
|-
| k-익명성 || 특정인임 추론 가능 여부 검토 || 동일 값 레코드 k개 이상
|-
| l-다양성 || 민감정보의 다양성을 낮춤 || L개 이상의 다양성을 가지도록 하여 추론 방지
|-
| t-근접성 || 민감한 정보의 분포를 낮춤 || 전체 데이터 분포, 민감 정보 분포 차이를 t 이하로 설정
|}
 
== 비식별 암호 기술 ==
=== 동형 암호 ===
;Homomorphic Encryption
;Homomorphic Encryption
* 평문에 대한 연산 결과와 암호문에 대한 연산 결과가 같은 값
* 평문에 대한 연산 결과와 암호문에 대한 연산 결과가 같은 값
*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풀어보지 않고도 통계분석이 가능
*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풀어보지 않고도 통계분석이 가능


==== 형태 보존 암호 ====
=== 형태 보존 암호 ===
;Format-Preserving Encryption
;Format-Preserving Encryption
* 블록암호에 기반하여 특정한 형태의 평문의 값을 동일한 형태의 값으로 변환
* 블록암호에 기반하여 특정한 형태의 평문의 값을 동일한 형태의 값으로 변환


==== 순서 보존 암호 ====
=== 순서 보존 암호 ===
;Order-Preserving Encryption
;Order-Preserving Encryption
* 암호화 과정에서 평문의 순서 정보를 보존
* 암호화 과정에서 평문의 순서 정보를 보존
* 암호화를 통한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와 데이터 활용성을 보장
* 암호화를 통한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와 데이터 활용성을 보장


=== 기타 ===
== 표준 ==
* [[차분 프라이버시]]
 
 
== 적정성 평가 ==
=== 평가 지표 ===
{| class="wikitable"
|-
! 지표 !! 의미 !! 적용
|-
| [[k-익명성]] || 특정인임 추론 가능 여부 검토 || 동일 값 레코드 k개 이상
|-
| [[l-다양성]] || 민감정보의 다양성을 낮춤 || L개 이상의 다양성을 가지도록 하여 추론 방지
|-
| [[t-근접성]] || 민감한 정보의 분포를 낮춤 || 전체 데이터 분포, 민감 정보 분포 차이를 t 이하로 설정
|}
 
=== 비식별 조치 단계 ===
;국내 가이드라인 기준
{| class="wikitable"
! 절차
! 설명
|-
| 사전 검토
| 개인정보에 해당하는지 검토
|-
| 비식별 조치
| 정보집합물에서 개인 식별요소 제거
|-
| 적정성 평가
| 다른 정보와의 쉽게 결합 여부 평가
|-
| 사후관리
| 재식별 방지를 위한 방안 마련 및 수행
|}
 
=== 적정성 평가 단계 ===
;국내 가이드라인 기준
{| class="wikitable"
! 절차
! 설명
|-
| 기초자료 작성
| 데이터 명세, 비식별 현황 등
|-
| 평가단 구성
| 외부 전문가, 내부 책임자로 평가단 구성
|-
| 평가 수행
| 기초자료와 k-익명성 모델 등 활용
|-
| 추가 비식별 조치
| 평가 결과가 부적격인 경우 추가 조치 수행
|-
| 데이터 활용
| 평가 결과가 적정한 경우 데이터 활용
|}
 
== [[개인정보 재식별]] ==
* 재식별 기준: 개인화, 연결 가능성, 추론 가능성
* 재식별 공격: 검사 공격, 기자 공격, 마케터 공격 등
 
== 같이 보기 ==
* [[ISO/IEC 20889]]
* [[ISO/IEC 20889]]
*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