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곱셈-누산 연산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곱셈-누산 연산(MAC, Multiply–Accumulate operation)은 인공지능 및 딥러닝 모델의 연산량을 측정하는 지표로, 곱셈(multiplication)과 덧셈(accumulation)이 결합된 기본 연산 단위를 의미한다. 주로 합성곱 신경망(CNN)이나 완전연결층(Dense layer)과 같이 대규모 연산이 필요한 구조에서 모델의 연산 복잡도를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정의== *'''MAC(Multiply–Accumulate operation)'''은 하나의 곱셈 연산과 그 결과를 다른 값에 더하는 연산을 묶어서 표현한 것. **예: y = Σ w<sub>i</sub>x<sub>i</sub> 계산에서 각 항은 "곱셈 1회 + 덧셈 1회" → MAC 1회. *'''MACs'''는 이러한 곱셈-누산 연산을 전체 모델에서 몇 번 수행하는지를 나타내며, 복수형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 "이 모델은 100M MACs가 필요하다" → 약 1억 회의 곱셈-누산 연산 필요. ==FLOPs와의 관계== *'''FLOP(Floating Point Operation)'''는 부동소수점 연산의 총량을 의미하며, 곱셈, 덧셈, 나눗셈 등이 모두 포함된다. *많은 문헌에서는 MAC 1회를 FLOP 2회(곱셈 1회 + 덧셈 1회)로 대응시켜 계산한다. *따라서 MAC는 FLOP와 밀접히 관련되며, 단순화된 연산량 지표로 자주 사용된다. ==활용== *모델 경량화 연구에서 연산 효율성을 비교하는 기준으로 사용 *하드웨어 최적화(GPU, TPU, NPU 등)에서 처리량을 산정하는 척도로 활용 *CNN, RNN, Transformer 등 다양한 딥러닝 모델의 복잡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데 사용 ==같이 보기== *[[부동소수점 연산]] *[[합성곱 신경망]] *[[딥러닝]] *[[인공지능 하드웨어]] ==참고 문헌== *Ian Goodfellow, Yoshua Bengio, Aaron Courville, ''Deep Learning'', MIT Press, 2016. *Mark Sandler et al., ''MobileNetV2: Inverted Residuals and Linear Bottlenecks'', CVPR 2018. ==각주== <references /> [[분류:인공지능]] [[분류:딥 러닝]]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