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기반구조 네트워크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기반구조 네트워크(infrastructure network)는 고정된 중앙 장치(예: AP, 라우터, 스위치 등)를 중심으로 구성된 '''중앙 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이다. 모든 노드는 중앙 장치를 통해 통신하며, 네트워크의 제어, 라우팅, 보안, 연결 등의 기능도 중앙 장치에서 수행된다. *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형태를 이야기하며, 주로 [[애드혹 네트워크]]와 같은 분산형 네트워크와 대비하여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많이 사용된다. ==개념== *각 단말(노드)은 직접 통신하지 않고, '''중앙 인프라를 통해 간접 통신'''함 *유선 또는 무선 모두 가능하며,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 구조에 해당 *[[애드혹 네트워크]]와 대비되는 개념 ==구조== *'''액세스 포인트(AP)''': 무선 클라이언트를 수용하는 중심 장치 *'''스위치, 허브''': 유선 노드 간 데이터 전달 *'''라우터''': 네트워크 간 경로 설정 및 인터넷 연결 ==특징== *'''중앙 집중형''' 제어 및 관리 → 효율적 운영 가능 *'''신뢰성''' 및 '''보안성'''이 상대적으로 높음 *'''확장성'''이 뛰어나고, QoS 적용이 용이함 *단점: 중앙 장치 고장 시 전체 네트워크 불안정 ==예시== *Wi-Fi 공유기를 통한 무선 네트워크 *회사나 가정의 LAN(Local Area Network) *학교, 기업의 인터넷 기반 네트워크 ==기반 구조 네트워크 vs 애드혹 네트워크== {| class="wikitable" !구분!!기반 구조 네트워크!!애드혹 네트워크 |- |연결 방식||중앙 장치(AP 등) 통해 연결||노드 간 직접 연결 |- |구조||고정된 인프라 기반||인프라 없음 (자율 구성) |- |제어 방식||중앙 집중식||분산식 |- |예시||Wi-Fi 공유기, 유선 LAN||MANET, 재난 구조 네트워크 |} ==장점== *네트워크 관리 및 보안 설정이 용이 *트래픽 흐름 및 자원 할당 최적화 가능 *고속 연결과 높은 신뢰성 제공 ==단점== *인프라 설치 비용이 발생 *유연성이 낮고, 중앙 장치 장애 시 서비스 중단 위험 ==같이 보기== *[[애드혹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LAN]] *[[라우터]] *[[액세스 포인트]] ==참고 문헌== *Tanenbaum, A. S., & Wetherall, D. J. (2011). Computer Networks. Pearson *Stallings, W. (2013).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Pearson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무선 네트워크 보안 가이드 [[분류:네트워크]]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