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기본소득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기본소득(基本所得, Basic Income)은 정부가 모든 국민에게 조건 없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소득으로, 생계 보장과 경제적 자유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장 제도이다. ==개요== 기본소득은 근로 여부, 자산 수준, 가구 형태와 무관하게 모든 개인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로, 전통적인 복지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대안으로 제시된다. 자동화, 인공지능 등의 기술 변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 소득 불평등 심화,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징== *'''보편성''': 전 국민 또는 특정 연령 이상의 모든 사람에게 지급 *'''무조건성''': 근로 능력, 소득 수준, 자산 보유 여부 등과 관계없이 지급 *'''정기성''': 일정한 간격(예: 매달)으로 지급 *'''현금성''': 현금 또는 이에 준하는 직접적인 소득 형태로 지급 ==목적== *최저 생계 보장 및 빈곤 완화 *노동 유연성 확대 및 자발적 활동 촉진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행정비용 절감 *소비 진작을 통한 경제 활성화 ==재원 마련 방식== 기본소득 도입을 위한 재원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안된다. *조세 확대: 소득세, 부가가치세, 탄소세, 로봇세 등 *기존 복지 예산 통합: 선별적 복지제도 일부 폐지 및 전환 *국부펀드 수익: 자원 수익이나 공공자산 운영 수익 *화폐 발행: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등을 활용한 직접 공급 ==찬반 논쟁== ===찬성 입장=== *인간의 존엄과 기본권 보장 *복지제도의 단순화 및 효율성 제고 *창의적 활동 및 사회참여 촉진 *기술실업 시대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반대 입장=== *막대한 재정 부담 및 조세저항 가능성 *노동의욕 저하 우려 *기존 복지제도의 약화 가능성 *정치적 악용 우려 ==주요 사례== *'''핀란드(2017~2018)''': 실험적 기본소득 도입, 2천명을 대상으로 월 560유로 지급 *'''알래스카(미국)''': 1982년부터 석유 수익 배당 형태로 연간 일정 금액 지급 *'''한국''': 경기도의 청년기본소득, 코로나19 재난기본소득 등의 형태로 논의 및 시범 시행 ==같이 보기== *[[복지국가]] *[[재정 정책]] *[[승수 효과]] *[[호텔 경제론]] *[[소득 재분배]] ==참고 문헌== *Van Parijs, P. & Vanderborght, Y., ''Basic Income: A Radical Proposal for a Free Society and a Sane Econom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7. *Standing, G., ''Basic Income: And How We Can Make It Happen'', Pelican Books, 2017. *김교성 외, 《기본소득 쟁점과 전망》, 나남출판, 2020. ==각주==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