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니켈 알러지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니켈 알러지(Nickel allergy, 鎳アレルギー)는 금속 원소인 니켈(Nickel)에 접촉한 후 면역계가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알레르기 질환으로, 가장 흔한 형태의 금속 알러지 중 하나이다. ==개요== 니켈은 주로 장신구, 시계, 안경, 핸드폰, 동전, 의류 장식품(지퍼, 단추 등) 등 다양한 일상 물품에 널리 사용된다. 니켈 알러지는 주로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의 형태로 나타나며, 특히 귀걸이나 반지, 벨트 버클, 핸드폰 등에 장기간 피부가 접촉할 경우 증상이 유발된다. ==증상== 니켈 알러지의 증상은 주로 피부 접촉 부위에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 *발진 및 홍반 *가려움증 *피부 부종 *수포 또는 진물 *만성적인 피부 갈라짐 및 비늘 모양의 병변 증상은 니켈에 반복적으로 노출될수록 악화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알러지 부위 외의 신체에도 증상이 퍼질 수 있다. ==원인== 니켈 알러지는 면역계가 니켈 이온을 외부 항원으로 인식해 T세포 매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지연형 과민반응(type IV hypersensitivity)에 해당한다.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제품이 있다.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장신구 *안경테, 손목시계 *지퍼, 단추, 벨트 버클 *동전(특히 유로화 및 일부 국가 화폐) *핸드폰 및 노트북 외장 ==진단== 니켈 알러지는 첩포시험(Patch test)을 통해 진단한다. 니켈 화합물이 소량 포함된 패치를 피부에 붙여 일정 시간 후 반응 여부를 관찰하여 진단한다. ==치료== 니켈 알러지는 완치가 어려운 만성 질환이지만, 원인 물질의 회피와 피부 치료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원인 물질과의 접촉 차단 *국소용 스테로이드 크림: 염증 및 가려움증 완화 *항히스타민제: 가려움증 완화 *피부 보습 및 장벽 보호제 사용 ==예방== *니켈 프리 제품 사용: 무니켈 장신구 및 의류 부자재 *투명 보호 코팅제 사용: 금속 제품에 니켈 차단용 투명 코팅제 도포 *귀 뚫기 시 의료용 무니켈 재료 사용 *제품 구매 시 ‘니켈 방출 테스트 통과’ 표시 확인 ==같이 보기== *금속 알러지 *접촉 피부염 *크롬 알러지 *지연형 과민반응 *피부과학 ==참고 문헌== *Thyssen, J. P., & Menné, T. (2010). Nickel allergy: epidemiology, pathogenesis, and management. *Contact Dermatitis*, 62(5), 277-285. *Lidén, C., Norberg, K., & Menné, T. (2001). Nickel on the Swedish market: follow-up 1999. *Contact Dermatitis*, 45(1), 20-23. ==각주== [[분류:의학]] [[분류:질병]]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