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데이터베이스 세타 조인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세타 조인(θ-조인, Theta Join)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두 테이블을 조인할 때, 단순한 동등 조건뿐만 아니라 '''비교 연산자(=, ≠, <, ≤, >, ≥)'''를 포함한 일반적인 조건식을 사용할 수 있는 조인 방식이다. 세타(θ)는 임의의 조건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개요== 세타 조인은 다음과 같은 형식의 조건으로 이루어진다. *R ⋈<sub>θ</sub> S **여기서 θ는 비교 연산자(예: R.a ≤ S.b 등)를 의미 **조인 결과는 조건 θ를 만족하는 R과 S의 튜플 쌍들의 집합이다 세타 조인은 내부 조인의 일반적인 확장이며, 특히 다음과 같은 조인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동등 조인 (Equi-join): θ가 '='일 때 *자연 조인 (Natural join): 동등 조인 중 중복 컬럼 제거 *비등 조인 (Non-equi join): θ가 '='이 아닌 다른 연산자일 때 ==예시== 두 테이블 R, S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테이블 R: {| class="wikitable" !id!!value |- |1||100 |- |2||200 |- |3||300 |}테이블 S: {| class="wikitable" !code!!limit |- |A||250 |- |B||150 |}세타 조인 조건: R.value ≤ S.limit SQL 문:<syntaxhighlight lang="sql"> SELECT R.id, R.value, S.code, S.limit FROM R JOIN S ON R.value <= S.limit; </syntaxhighlight>결과: {| class="wikitable" !id!!value!!code!!limit |- |1||100||A||250 |- |2||200||A||250 |- |1||100||B||150 |} ==특징== *다양한 조건식을 활용할 수 있어 유연한 조인이 가능 *비등 조인, 범위 조건 조인, 복합 조건 조인 등에 사용됨 *실행 성능은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인덱스 또는 정렬 여부에 따라 최적화 필요 ==성능 고려== *세타 조인은 일반적으로 '''중첩 루프 조인(nested loop join)''', '''소트 병합 조인(sort-merge join)''', 또는 '''해시 조인(hash join)'''을 통해 구현된다. *특히 θ 조건이 등호가 아닌 경우에는 해시 조인보다 병합 조인 또는 중첩 루프가 더 적합할 수 있음 ==같이 보기== * [[데이터베이스 조인]] * [[데이터베이스 자연 조인]] ==참고 문헌== *Silberschatz, A., Korth, H. F., & Sudarshan, S. (2020). Database System Concepts (7th ed.). McGraw-Hill. *Elmasri, R., & Navathe, S. B. (2016). Fundamentals of Database Systems. Pearson. [[분류:데이터베이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