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데이터 링크 계층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분류:네트워크]] Data Link Layer ==개요== * [[OSI 7계층]] 모델의 2번째 계층 ** [[TCP/IP]] 모델에서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방법을 규정한다. * 호스트들이 L2 스위치로 연결된다. ** 스위치로 연결된 장치들과 LAN 집합은 '평면(flat)' 주소 공간을 가진 것으로 간주된다. ** 여기서 '평면'이라는 뜻은 모든 사용자가 공통된 MAC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공유한다는 의미이다. ==하위 계층 2개== ===[[MAC]]=== * Media Access Control * 장비가 네트워크 매체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는데 사용되는 절차 ===[[LLC]]=== * Logical Link Control * 네트워크 노드 장비 간 논리적 연결 수립·제어 명세 == 프로토콜 == * [[HDLC]] * [[이더넷|이더넷(Ethernet)]]: 현재 가장 많이 쓰인다 * [[X.25]]: [[패킷 스위칭]] 2계층 기술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FrameRelay]]: [[패킷 스위칭]] 2계층 기술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ATM]]: [[패킷 스위칭]] 2계층 기술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토큰 링|토큰 링(Token Ring)]] * [[DFFI]] * [[L2TTP]] * [[L2F]] * [[PPP]] * [[PPTP]] * [[MPLS]] ==3가지 기능== ===회선제어=== * 노드와 노드간의 통신 제어 규범(line discipline) * 회선 분류 : 점대점 또는 멀티포인트 회선, 단방향 또는 반이중 또는 양방향 * 절차: 회선 연결 → 데이터 링크 확립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링크 해제 → 회선 절단 ===흐름제어=== * 수신 장치의 용량 이상으로 데이터가 넘치지 않도록 송신 장치를 제어 * 제어방식 : [[정지-대기 기법]](Stop and Wait),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오류제어=== * 감쇠, 잡음, 주파수혼란 등으로 전송된 데이터상에 발생될 수 있는 오류의 해결을 위한 제어 * 오류 제어 기술로 [[순방향 오류 정정]](FEC)와 [[자동 재전송 요구]](ARQ)등이 있다.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