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항공교통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저소음, 친환경동력 기반의 수직이착륙 교통수단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이․착륙 인프라 등을 포함하는 항공교통체계'''
'''저소음, 친환경동력 기반의 수직이착륙 교통수단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이․착륙 인프라 등을 포함하는 항공교통체계'''


*도심 상공에서 사람을 운동하는 신 교통 수단으로 기체부터 인프라, 서비스 및 유지보수 등 관련 사업을 포괄하는 개념
* 도심 상공에서 사람을 운동하는 신 교통 수단으로 기체부터 인프라, 서비스 및 유지보수 등 관련 사업을 포괄하는 개념


==특징==
== 특징 ==


*전기동력(배터리) 기반으로 배출가스가 없고, 소음은 최대 60dB(일상적 대화 수준)를 목표로 하고 있어 도시에서 운항 가능한 친환경교통수단
* 전기동력(배터리) 기반으로 배출가스가 없고, 소음은 최대 60dB(일상적 대화 수준)를 목표로 하고 있어 도시에서 운항 가능한 친환경교통수단
*소재・배터리・AI・빅데이터 등의 첨단기술이 필수적 이며, 항공분야 특성상 높은 안전도 달성을 위해 高수준 기술이 집약
* 소재・배터리・AI・빅데이터 등의 첨단기술이 필수적 이며, 항공분야 특성상 높은 안전도 달성을 위해 高수준 기술이 집약


==생태계==
== 생태계 ==


*기체 개발, 제작사
* 기체 개발, 제작사
*운송사업자
* 운송사업자
*교통관리 서비스 공급자(PSU)
* 교통관리 서비스 공급자(PSU)
**PSU: Provider of Services for UAM
** PSU: Provider of Services for UAM
*버티포트 운용자
* 버티포트 운용자
*부가정보서비스제공자(SDSS)
* 부가정보서비스제공자(SDSS)
**SDSS: Supplement Data Service Supplier
** SDSS: Supplement Data Service Supplier
*정부 관계부처
* 정부 관계부처


==국제 동향 및 전망==
== 국제 동향 및 전망 ==


===업계 동향===
=== 업계 동향 ===


*기체개발<ref>'''(항공)''' 보잉, 에어버스, '''(자동차)''' 현대차, 도요타, 다임러, 아우디 등</ref> 및 플랫폼(우버) 업체들을 중심으로 이슈를 형성하고 있고,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eVTOL 기체 출현 중
* 기체개발<ref>'''(항공)''' 보잉, 에어버스, '''(자동차)''' 현대차, 도요타, 다임러, 아우디 등</ref> 및 플랫폼(우버) 업체들을 중심으로 이슈를 형성하고 있고,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eVTOL 기체 출현 중
*보잉 에어버스 등 기존 항공업계는 신중하게 접근하는 반면, 스타트업 등 항공분야 신규 진입업체는 이슈 확대 시연 등 적극적인 접근 중
* 보잉 에어버스 등 기존 항공업계는 신중하게 접근하는 반면, 스타트업 등 항공분야 신규 진입업체는 이슈 확대 시연 등 적극적인 접근 중
**중국 Ehang, 독일 Volocopter 공개시연 / 현대차 CES 발표
** 중국 Ehang, 독일 Volocopter 공개시연 / 현대차 CES 발표
*특히, 우버는 UAM 전담 자회사(Elevate) 설립(2016) 후 시장을 선도,  
* 특히, 우버는 UAM 전담 자회사(Elevate) 설립(2016) 후 시장을 선도,  
**2023년 상용화(美 LA Dallas, 호주 멜버른)라는 적극적 목표 설정
** 2023년 상용화(美 LA Dallas, 호주 멜버른)라는 적극적 목표 설정
**우버는 기체 금융 건설 통신 등 다양한 업계와 협력관계를 형성 (Elevate Summit)하고, 세계시장이 주목하는 논의 진전
** 우버는 기체 금융 건설 통신 등 다양한 업계와 협력관계를 형성 (Elevate Summit)하고, 세계시장이 주목하는 논의 진전
*2021년 기준 세계 300여개 업체들이 새로운 시장 선점을 위해 경쟁중이며 현대차․한화 등 국내기업도 대열에 합류
* 2021년 기준 세계 300여개 업체들이 새로운 시장 선점을 위해 경쟁중이며 현대차․한화 등 국내기업도 대열에 합류
**우버 등 미국이 이슈화를 선도하고 있으나, 아직 상용서비스 미도입으로 시장선점은 하지 못한 상황
** 우버 등 미국이 이슈화를 선도하고 있으나, 아직 상용서비스 미도입으로 시장선점은 하지 못한 상황


*최근 UAM 개념에 화물/장거리 운송을 포함한 AAM(Advanced Air Mobility)으로 확대
* 최근 UAM 개념에 화물/장거리 운송을 포함한 AAM(Advanced Air Mobility)으로 확대
*[[도심항공교통/주요 업체|주요 업체 동향]]은 별도 문서 참고
* [[도심항공교통/주요 업체|주요 업체 동향]]은 별도 문서 참고


===정부 동향===
=== 정부 동향 ===


*미국(FAA) 및 유럽(EASA)은 우선 기체 기술기준에 관한 기준 마련(또는 임시기준 활용) 중이고, 일부 기체 인증 진행 중
* 미국(FAA) 및 유럽(EASA)은 우선 기체 기술기준에 관한 기준 마련(또는 임시기준 활용) 중이고, 일부 기체 인증 진행 중
**(FAA) 기존 기술기준 중 필요한 부분만 발췌 취합, 산업표준 준용
** (FAA) 기존 기술기준 중 필요한 부분만 발췌 취합, 산업표준 준용  
**(EASA) 포괄적 기술기준 제정(‘19.7) 후 세부 기술기준 제정 중
** (EASA) 포괄적 기술기준 제정(‘19.7) 후 세부 기술기준 제정 중  
*다른 분야보다 오래 걸리는 기체인증(통상 5년 소요)이 핵심과제로 업계에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체인증 가이드라인 제시 중
* 다른 분야보다 오래 걸리는 기체인증(통상 5년 소요)이 핵심과제로 업계에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체인증 가이드라인 제시 중
*인프라 등 기준은 추후 마련 예정이고 기존 항공교통관리(ATM)와 무인기 교통관리(UTM) 통합같은 장기이슈는 R&D 등 진행 중
* 인프라 등 기준은 추후 마련 예정이고 기존 항공교통관리(ATM)와 무인기 교통관리(UTM) 통합같은 장기이슈는 R&D 등 진행 중


===추진 전망===
=== 추진 전망 ===


*'''준비기(2020~2024)'''
* '''준비기(2020~2024)'''
**이슈·과제 발굴
** 이슈·과제 발굴
**법·제도 정비
** 법·제도 정비
**시험·실증(민간)
** 시험·실증(민간)
*'''초기(2025~2029)'''
* '''초기(2025~2029)'''
**일부노선 상용화
** 일부노선 상용화
**도심 내·외 거점 선정
** 도심 내·외 거점 선정
**연계교통체계 구축
** 연계교통체계 구축
*'''성장기(2030~2035)'''
* '''성장기(2030~2035)'''
**비행노선 확대
** 비행노선 확대
**도심 중심 거점 선정
** 도심 중심 거점 선정
**사업자 흑자 전환
** 사업자 흑자 전환
*'''성숙기(2035 이후)'''
* '''성숙기(2035 이후)'''
**이용 보펀화
** 이용 보펀화
**도시 간 이동 확대
** 도시 간 이동 확대
**자율비행 실현
** 자율비행 실현


==제도적 준비 사항==
== 제도적 준비 사항 ==


*'''합리적 제도''': UAM 특별법 등
* '''합리적 제도''': UAM 특별법 등
*'''민간 역량''': 특별 자유 구역 지정, R&D 지정 등
* '''민간 역량''': 특별 자유 구역 지정, R&D 지정 등
*'''국제 협력''': 미국 FAA 및 유럽 EASA와 협력
* '''국제 협력''': 미국 FAA 및 유럽 EASA와 협력
*'''대중 수용성''': 홍보 및 시연비행
* '''대중 수용성''': 홍보 및 시연비행
*'''산업생태계''': 사업 면허, 기체 인증, 보험 제도 등
* '''산업생태계''': 사업 면허, 기체 인증, 보험 제도 등
*'''인프라/연계''': 버티포트, 환승체계 구축
* '''인프라/연계''': 버티포트, 환승체계 구축


==주요 기술==
== 같이 보기 ==
{| class="wikitable"
! colspan="2" |'''기체ㆍ부품'''
! colspan="2" |'''항행ㆍ교통관리'''
! colspan="2" |'''인프라'''
! colspan="2" |'''서비스'''
! colspan="2" |'''핵심기술'''
|-
| rowspan="8" |
!'''기체구조'''
| rowspan="8" |
!'''UAM 통합관리'''
| rowspan="8" |
!'''버티포트 구축 및 운용시스템'''
| rowspan="8" |
!'''운송ㆍ운용''' '''서비스'''
| rowspan="8" |
!'''자율비행'''
|-
|
*UAM 기체 경량화 제작 기술
*UAM용  고신뢰성 기체 설계제작 기술
| rowspan="3" |
*UAM 공역설계 및 관리 스케쥴링 기술
*실시간 운항 정보기반 UAM 자동화 교통관리 기술
*UAM 운항 위험도 저감 관리 기술
*UAM 가상통합 운용체계 검증기술
|
*도심형 버티포트구축기술
*버티포트고효율 자동화 운용기술
*스마트보안 및 안전 기술
|
*UAM 승객화물 운송 관리 기술
*UAM 조종사 업무저감 기술
*지능형 예방정비 기술
| rowspan="3" |
*UAM용 완전 자율비행 조종기술
*UAM 비행체용 탑재통신 기술
*UAM 자율 항법 기술
*전천후 상황인지 및 충돌회피기술
|-
!'''동력ㆍ추진 시스템'''
!'''버티포트 보조설비 시스템'''
!'''운항정보 수집분석 및 공유 시스템'''
|-
|
*UAM용 친환경·초경량·  고성능 추진동력원
*도심 운항성을 고려한 전기추진 기술
|
*버티포트용에너지 최적화 기술
*상용통신 기반 버티포트통신 기술
*고전압 고신뢰 버티포트 충전 기술
|
*도심운용 3차원 정밀지도 구축기술
*UAM 도심 기상 장애물 정보 수집분석 기술
|-
!'''기계시스템'''
!'''UAM CNSi'''
!'''특화도시'''
!'''운용자격 체계'''
!'''기체 소음진동 저감'''
|-
|
*승객 운항성을 고려한 전기 추진 기술
*승객 운항안전성 확보기술
| rowspan="3" |
*UAM 비행 운용제어용 다중 통신기술
*UAM 운용을 위한 정보공유 네트워킹기술
*차세대 UAM용 다중 상대항법 기술
*UAM용 협력적/비협력적 감시기술
*UAM 운용을 위한 CNSi용 보안 기술
*CNSi획득 및 활용체계 검증 기술
| rowspan="3" |
*버티포트특화형 스마트 시티
| rowspan="3" |
*UAM 종사자 자격제도 수립
*UAM 종사자 인력양성 체계
| rowspan="3" |
*도심운용을 위한 소음진동저감 프롭로터 기술
*UAM 기체용 소음진동 제어기술
|-
!'''인증ㆍ시험평가'''
|-
|
*UAM 기체 인증시험평가 기술
*UAM 기체용 소재부품 인증시험평가기술
|}


==같이 보기==
* [[MaaS]]
* 드론


*[[MaaS]]
== 참고 문헌 ==
*드론


==참고 문헌==
*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관계부처 합동, 20.5)
*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추진현황(UAM Team Korea, 21.10)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관계부처 합동, 20.5)
== 각주 ==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추진현황(UAM Team Korea, 21.10)
 
==각주==
<references />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