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휴먼 증강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Digital Human Augmentation
;Digital Human Augmentation
AI, IT, BT 등의 다양한 이종 기술 간 융합을 바탕으로 인간의 신체・두뇌・감성 능력의 저하를 예방하고, 회복 및 향상을 통해 지속적인 건강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AI, IT, BT 등의 다양한 이종 기술 간 융합을 바탕으로 인간의 신체・두뇌・감성 능력의 저하를 예방하고, 회복 및 향상을 통해 지속적인 건강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배경 및 목표==
== 배경 및 목표 ==
 
;배경
;배경
 
*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의료 비용 증가 등 사회적 문제 개선 필요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의료 비용 증가 등 사회적 문제 개선 필요
* 코로나 등으로 인한 인간 관계 축소로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 보완 필요
*코로나 등으로 인한 인간 관계 축소로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 보완 필요
* AI, IT, BT 기술 발전에 따라 산업용 외골격 로봇 등을 이용한 근력 지원 가능
*AI, IT, BT 기술 발전에 따라 산업용 외골격 로봇 등을 이용한 근력 지원 가능
 
;목표
;목표
 
* (예방) 노화 등으로 인해 예상 가능한 신체적・인지적・정서적 능력 저하를 예방
*'''(예방)''' 노화 등으로 인해 예상 가능한 신체적・인지적・정서적 능력 저하를 예방
* (회복) 노화, 장애, 질병 등으로 저하된 신체적・인지적・정서적 능력을 개선・회복
*'''(회복)''' 노화, 장애, 질병 등으로 저하된 신체적・인지적・정서적 능력을 개선・회복
* (향상) 인간의 생산성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신체적・인지적・정서적 능력을 향상
*'''(향상)''' 인간의 생산성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신체적・인지적・정서적 능력을 향상
 
== 디지털 휴먼 증강의 범위 ==
{| class="wikitable"
! colspan="2" |구분
!내용
|-
| rowspan="4" |신체
|근력
|
* 신체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능력의 강화
* 장애인 등의 신체적 삶의 질을 개선하고 산업 현장에서 생산성을 제고
|-
|감각
|
* 노화, 질환 등으로 저하된 신체 감각(시각, 청각 등) 능력 개선, 감각치환
* 장애인의 상실된 감각 기능을 보완
|-
|면역
|
* 유전체 분석 등을 통해 질환・질병 및 외부 감염 등의 면역 취약 요소 진단
* 개인 맞춤형 면역강화 솔루션 제공
|-
|장기
|
* 기능 쇠퇴 및 손상된 인체의 장기를 디지털화된 인공장기로 대체
* 수명 연장 및 신체 효율 개선
|-
| rowspan="3" |두뇌
|기억
|
* 노화, 질병으로 저하된 기억력을 복원・저장・영상화
|-
|인지
|
* 상황판단, 이해력 등에 대한 인지 능력의 저하 방지 및 향상
|-
|창의
|
* 창의 지능 활성화와 AI 협업을 통해 상상 및 생각의 표현력 향상
|-
| rowspan="2" |감성
|소통
|
* 감성 교류형 에이전트를 통한 독거인 및 치매 환자의 소통 능력 향상
|-
|감정 제어
|
* AI와 개인 감성정보를 활용한 우울증, 공황장애 등 이상 감정의 예방 및 치료
|-
| colspan="2" |디지털 휴먼 트윈
|
* 멀티모달형 개인 신체 및 의료, 생활습관 정보 수집 기술 발달
* 정밀의료 및 유전체 분석에 따른 개인의 생체 및 유전정보 분석 기술 발달
*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기술 고도화
|}
 
== 핵심 기술 ==
정보통신・전자공학, 뇌공학, 바이오・생명공학, 로봇・제조공학 등 다양한 이종의 융합기술로 구현
{| class="wikitable"
!분야
!기술
|-
|정보통신・전자공학
|AI, 빅데이터 기술, 센싱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감성・인지 컴퓨팅,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IoB(Internet of Body) 등
|-
|뇌공학
|뉴로모픽 칩(Neuromorphic chip) 기술, Brain-Machine Interface 등
|-
|바이오・생명공학
|시・청각 등 감각기술, 유전체 분석 기술, 인공장기 기술, 바이오 칩・ 센서 기술, 바이오인포메틱스 등
|-
|로봇·제조공학
|근력증강 로봇 기술, [[3D 프린팅|3D 프린팅 기술]] 등
|}
 
== 참고 문헌 ==
* 디지털 휴먼증강 미래 유망 기술 서비스(KISTEP, ETRI)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