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리눅스 NIS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썬마이크로시스템에서 개발한 인증 서비스로, 대부분의 유닉스·리눅스 기반 운영체제에 탑재되어 있는 기본 인증 서비스''' *초기 상품명이 Yellow Pages였으나 상표권 문제로 NIS로 바뀌었다. *명령어는 대부분 yp로 시작한다. ==주요 명령어== *ypwhich : NIS 서버명 출력 *ypcat hosts.byname : 호스트 관련 정보를 출력한다. *ypcat passwd.byname : 사용자 관련 정볼르 출력한다. /etc/passwd와 유사함 *yptest : 관련 설정 테스트용 명령어. 도메인명, 맵 파일 목록, 계정정보 등 출력 *yppasswd : 리눅스의 passwd와 같은 역할 (사용자 패스워드 변경) *ypchsh : 리눅스의 chsh와 같은 역할 (사용자 쉘 변경) *ypchfn : 리눅스의 chfn과 같은 역할 (사용자 정보 변경) *nisdomainname test.co.kr : NIS 도메인을 test.co.kr로 설정 **영구적으로 설정 하려면 /etc/sysconfig/network에 NISDOMAIN=test.co.kr 추가 == 관련 파일 및 디렉토리 == * /var/yp : 관련 맵 파일이 생성됨. 설정 내용이 변경되면 이 폴더에서 make명령어 수행 * /etc/yp.conf : 설정 파일 * /etc/sysconfig/network : 도메인 명 설정 == NIS서버 데몬 == * RPC(Remote Procedure Call)을 사용하므로 관련 데몬을 반드시 구동해야 한다. * RHEL5버전 까지는 portmap 데몬이, RHEL6부터는 rpcbind 데몬이 사용된다. * 서버에서는 ypserv, 클라이언트에선 ypbind를 구동시킨다. * ypxfrd : NIS 서버와 NIS 클라이언트 간의 맵핑 속돌로 높여주는 데몬 * vppasswdd : NIS 클라이언트에서 패스워드 적용에 사용되는 데몬 == NIS 활용 == NIS를 이용하여 인증이 가능한 서비스<ref>DNS는 NIS인증이 지원되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관련 시험문제에도 오답 보기도 많이 출제된다.</ref> * telnet * ssh * samba == 참고 문헌 == * [http://q.fran.kr/문제/2969 리눅스마스터 1급 69번 문제] * [https://raisonde.tistory.com/entry/리눅스마스터-NIS와-yp명령어 지식잡식 블로그] == 각주 == [[분류:리눅스]] [[분류:리눅스 프로그램]]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