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shadow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사용자들의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어 저장돼 있는 파일
사용자들의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어 저장돼 있는 파일
 
* 비밀번호 외에도 패스워드 수정일, 계정 만료일 등 많은 정보들을 포함한다.
*비밀번호 외에도 패스워드 수정일, 계정 만료일 등 많은 정보들을 포함한다.
* 위치 : /etc/shadow
*위치: /etc/shadow
== 내용 ==
 
<pre class='shell'>
==내용==
'''예시'''<pre class="shell">
# cat /etc/shadow
# cat /etc/shadow
itwiki:$6$7sqr8$b6...Qk0t/:17132:0:99999:7: : :
itwiki:$6$7sqr8$b6...Qk0t/:17132:0:99999:7: : :
</pre>'''콜론(:)이 구분자로 사용되며, 총 9개의 필드로 이루어져 있다.'''<ref>아래는 보기 편하게 하기 위해 콜론과 값 사이에 공백을 두었지만 실제로는 위의 예시와 같이 공백이 없다.</ref><pre>
</pre>
① : ②$---$---$--- : ③ : ④ : ⑤ : ⑥ : ⑦ : ⑧ : ⑨
* '''총 9개의 필드로 이루어져 있다.'''
</pre>① 사용자명(ID)
# 사용자명(ID)
 
# 암호화된 패스워드. 앞에 ! 가 있으면 잠긴 상태이다.
패스워드 암호화 정보
# 패스워드 최종 수정일(1970-01-01로부터의 일수)
 
# 패스워드 최소 유지기간
* 첫 번째 $ : 암호화 알고리즘<ref>대부분 1.MD5, 5.SHA-256, 6.SHA-512 선에서 문제가 나온다. 나머지는 많이 쓰지 않는다.</ref>
#* 마지막으로 변경할 날 이후로 변경할 수 없는 일수
** 1: [[MD5]]
# 패스워드 최대 유지기간
** 2: [[Blowfish]]
#* 패스워드 만료일. 마지막으로 변경할 날 이후로 사용 가능한 일수
**5: [[SHA|SHA256]]
# 패스워드 만료 경고 기간
**6: [[SHA-512|SHA512]]
#* 패스워드 만료 전 경고 메세지가 나오는 일수
*두 번째 $ :  salt 값
#* 만료일이 90일이고, 만료 경고기간이 7일이면 83일부터 90일까지 7일동안 경고메세지가 나오다 91일째 만료된다.
*세 번쨰 $ : 비밀번호 hash 값
# 패스워드 파기 기간(패스워드 파기후 게정 비활성 기간)
**암호화된 패스워드 앞에 ! 가 있으면 잠긴 상태이다.
# 계정 만료 기간
 
# 예약 필드(사용하지 않음)
패스워드 최종 수정일
 
* 1970-01-01로부터의 일수
 
패스워드 최소 유지기간
 
* 마지막으로 변경할 날 이후로 변경할 수 없는 일수
 
패스워드 최대 유지기간
 
*패스워드 만료일. 마지막으로 변경할 날 이후로 사용 가능한 일수
 
패스워드 만료 경고 기간
 
*패스워드 만료 전 경고 메세지가 나오는 일수
*만료일이 90일이고, 만료 경고기간이 7일이면 83일부터 90일까지 7일동안 경고메세지가 나오다 91일째 만료된다.
 
⑦ 계정 잠김으로 부터 남은 일수
 
*패스워드 만료후 계정이 잠기는 일수
 
계정 만료 일자(비어있으면 만료 없음)
 
예약 필드(사용하지 않음)


== 각주 ==
[[분류:리눅스]]
[[분류:리눅스]]
[[분류:리눅스 파일]]
[[분류:리눅스 파일]]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