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모바일 IP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모바일 IP'''는 '''IETF'''에 의해 개발된 프로토콜로, 장치가 네트워크를 이동할 때도 원래의 홈 주소(Home Address)를 유지하며 통신할 수 있도록하는 시스템이다. * 기존 IP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변경 시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받아 기존 연결이 끊어지지만, 모바일 IP는 이를 해결하여 네트워크 이동성(Mobility)을 보장한다. 주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장치 이동 중에도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한다. == 발전 배경 == 인터넷은 초기부터 고정된 위치에서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장치의 확산으로, 이동 중에도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모바일 IP(Mobile IP)가 개발되었으며, 사용자가 이동하더라도 원래 IP 주소를 유지하고 통신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 모바일 IP의 동작 원리 == * '''홈 주소(Home Address)''': 장치가 이동하더라도 유지되는 고정된 IP 주소. * '''[[CoA|Care of Address(CoA)]]''': 장치가 새로운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임시로 할당받는 IP 주소. * '''터널링(Tunneling)''': 홈 에이전트가 패킷을 CoA로 전달하는 과정으로, 패킷에 새로운 IP 헤더를 추가하여 전송한다. * '''홈 에이전트(Home Agent, HA)''': 사용자가 속한 홈 네트워크에 위치하며, 홈 주소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Care of Address(CoA)로 전달한다. *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 FA)''': 사용자가 이동한 네트워크에 위치해 임시로 '''CoA'''를 할당하고, 데이터를 전달한다. * '''모바일 노드(Mobile Node, MN)''': 네트워크를 이동하는 사용자 장치로, 이동한 네트워크에서 '''CoA'''를 받아 통신을 지속한다.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장치가 홈 네트워크를 벗어나면 새로운 네트워크에서 CoA를 받는다. 홈 에이전트는 홈 주소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CoA로 터널링하여 전송하고, 장치는 CoA로 데이터를 수신해 통신을 유지한다. == 활용 == 모바일 IP는 3G, 4G, 5G와 같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히, '''VoIP''', '''화상 통화'''와 같은 실시간 통신 서비스에서 네트워크를 이동하면서도 연결이 끊기지 않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다. 또한, '''IPv6''' 환경에서 모바일 IP는 더 넓은 주소 공간을 지원하며,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성능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분류:네트워크]] [[분류:무선 통신]]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